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0%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에서 제시한 전망치 2.2%보다 0.2%포인트(p) 하향한 수치다.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이 발발하기 전 방한한 IMF 연례협의단이 제시한 전망치(2.0%)와는 동일하다. 12월 이후 커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요인은 반영되지 않은 성장률 전망치라는 관측이 나온다.
IMF는 17일 밤 11시(한국시각, 미국 워싱턴 현지시각으로 오전 9시) 1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3%로 제시했다. 지난해 10월 발표한 전망치보다 0.1%p 상향했다.
미국의 성장률 상향 조정이 영향을 미쳤다. IMF는 이번 전망에서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대비 0.5%p 상향한 2.7%로 제시했다.
반면 독일은 0.5%p 하향한 0.3% 성장을, 프랑스는 0.3%p 하향한 0.8% 성장을 전망했다. 캐나다의 성장률도 0.4%p 내린 2.0%를 예상했다.
전반적으로 유로존은 성장이 둔화하지만, 미국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세계경제 성장 흐름을 견인할 것이라고 내다본 것이다.
선진국 그룹(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41개국)의 2025년 성장률은 지난 전망 대비 0.1%p 상향한 1.9%로 제시했다.
국가별로, 미국은 자산 효과에 따른 소비 강세와 통화정책 완화와 안정적 금융 여건을 토대로 성장률을 크게 상향했다.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는 지정학적 긴장 지속과 제조업 분야 약세 영향으로 성장률 둔화를 전망했다.
주요 7개국(G7)과 유로존을 제외한 기타 선진국에서는 실질임금 회복에 따른 소비 진작 등 긍정적 효과와 무역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투자 감소 등 부정적 효과가 균형을 이루며 2.1%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에 대해선 지난해 11월 7일부터 20일까지 방한한 연례협의단이 제시한 성장률 전망치(2.0%)와 동일했다. 한국 정부(1.8%)와 한국은행(1.9%) 전망치보다는 높게 잡았다.
신흥개도국 그룹에 대해선 지난해 10월 전망과 동일한 4.2%로 예상했다.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4.6%로, 종전 전망치보다 0.1%p 상향했다. 대규모 부양 정책이 커진 무역 불확실성과 자산시장 부진의 부정적 영향을 보완할 것이라고 IMF는 평가했다.
IMF는 세계 경제 위험요인이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면서, ▲미국 신정부의 보호무역주의 확대 ▲확장적 재정정책 ▲이민 정책을 위험요인으로 제시했다.
IMF는 특히 확장적 재정정책과 규제 완화 정책이 단기적으로 미국 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채권 금리 상승, 신흥국 자본 이탈을 초래하여 세계 경제에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20일 출범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확대, 이민 제한 정책이 무역 갈등 심화와 노동력 공급 차질을 야기함으로서 미국과 세계경제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도 꼬집었다.
IMF는 또 국가별 상황에 맞게 물가, 성장, 고용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통화정책을 조정할 것을 권고했다. 지속가능한 부채 관리를 위한 재정 건전화 노력과 함께 성장 친화적 재정 투자 및 취약계층 보호를 강조했다. 아울러 노동시장·디지털화 등 생산성 제고를 위한 구조개혁과 함께 무역 분절화 방지를 위한 다자간 무역 협력 강화 노력을 촉구했다.
IMF는 매년 1월과 4월, 7월, 10월에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4월과 10월에는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전망을 발표하고, 1월과 7월은 주요 30개국(한국 포함)을 대상으로 수정 전망을 발표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