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시중에 풀린 돈이 4143조원을 기록했다. 18개월째 통화량이 증가하며 시중 유동성이 늘고 있다. 국내 증시 부진에 대기성 자금이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14일 ‘2024년 11월 통화 및 유동성’을 통해 지난해 11월 M2(광의통화, 평잔)가 전월 대비 32조3000억원 늘어난 4143조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월 대비 증가율은 0.8%로 10월 증가 폭(1.0%)보다는 축소됐다.
하지만 1년 반째 시중 유동성이 증가하고 있다. M2는 2023년 6월(+0.3%)부터 반등에 나서 18개월째 상승세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6.4%로 직전 달(+6.5%)에 이어 오름세를 이어갔다. 한은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통화량은 완만한 증가세”라고 설명했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MMF(머니마켓펀드),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로 통상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의미한다.
금융상품별로 살펴보면,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이 전월(+4조원)에서 11조40000억원 더 늘었다. 자산 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따라 투자 대기성 자금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일부 은행들은 대기성 자금 유치를 위해 입출금이 자유롭고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파킹통장 상품을 확대했는데, 그 영향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2년 미만 금융채는 전달 3조4000억원 증가에서 5조5000억원으로 증가 폭을 확대했다. 시장 금리 하락에 따른 발행 여건 개선에 기인한다. 반면 시장형 상품은 전월 9000억원 증가에서 2조7000억원이 감소로 전환했다. 단기 은행채를 통한 자금 조달이 늘어난 결과다.
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및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10조6000억원 증가했다. 기업은 정기 예·적금과 MMF를 중심으로 5조3000억원 확대됐다.
협의통화(M1) 평잔(계열조정)은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15조4000억원(1.2%) 늘어난 1248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4.1% 늘었다.
금융기관 유동성(Lf)은 5646조9000억원으로 0.8% 증가했다. 광의 유동성은 전월 말 대비 0.7% 증가했다. 전년 동월 말 대비로는 5.6% 올랐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