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지난해 3분기 보험회사의 경과조치 적용 후 지급여력비율(K-ICS)은 218.3%로 전분기(217.3%) 대비 1.0%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과조치란 신지급여력비율인 K-ICS 도입으로 지급여력비율이 떨어질 것을 고려해 K-ICS 비율이 안정적인 수준에 이를 때까지 신규위험액 측정 등을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조치다. 지급여력비율이란 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9월말 기준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현황’에 따르면 생보사의 지급여력비율은 211.7%로 전분기 대비 0.9%포인트 하락한 반면 손보사는 227.1%로 전분기 대비 3.1%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3분기 보험회사의 지급여력비율 상승은 경과조치 후 K-ICS 요구자본보다 가용자본이 더 크게 감소한 영향이다. 9월말 경과조치 후 K-ICS 가용자본은 258조9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5000억원 감소했다.
이익잉여금이 5조7000억원 증가하고 3조4000억원 규모의 자본성증권(신종 및 후순위채권) 발행 등으로 가용자본이 일부 증가한 가운데서도 주가와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 영향으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이 11조2000억원 감소한 데에 기인한다.
경과조치 후 K-ICS 요구자본은 118조6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2000억원 줄었다.

건강보험 판매 확대에 따라 장해·질병위험액이 1조9000억원 증가하고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금리위험액이 7000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주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익스포져(exposure, 특정 금융회사와 연관된 금액이 어느 정도인가를 말하는 것) 감소로 주식위험액이 3조9000억원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전체 요구자본은 줄었다. 삼성생명·화재의 주식위험액은 삼성전자 주가 하락 등으로 전분기대비 △3.6조원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의 경과조치 후 지급여력비율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다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 증대되고 있는 만큼 취약 보험회사 중심으로 충분한 지급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철저히 감독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