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한의 날씨에 마땅한 쉴 곳을 찾지 못해 야외를 전전하는 인천의 이동노동자들을 위한 쉼터 확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현재 지역 내 이동노동자 쉼터는 민간에서 운영하는 부평구 소재 1곳, 인천시에서 운영하는 남동구 소재 2곳 등 모두 3곳이다.
인천지역 이동노동자는 최소 2만여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들이 노동 중 잠시 휴식을 취할 쉼터가 턱없이 부족한 것이다.
2023년 11월 개소한 남동구 구월동 인천생활물류쉼터의 경우 대리기사·배달노동자·학습지 교사 등 생활물류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인데, 지난 1년간 2만5444명이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황이 이렇지만 이동노동자들을 위한 공간 조성 움직임은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이날 기준 인천 10개 군·구 중 이동노동자 지원 관련 조례를 제정한 곳은 중·미추홀·부평·계양·남동구 등 5곳뿐이다.
나머지 기초단체에서는 사업 추진의 근간이 될 기본 조례조차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조례가 마련된 기초단체 역시 예산 및 운영 여건이 넉넉지 않다는 이유에서 실제 쉼터 조성까지 가시적으로 진전되진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프리랜서와 플랫폼 종사자가 증가세를 보이는 만큼, 쉼터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김광호 민주노총 인천본부장은 “플랫폼 노동자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쉼터가 있긴 하지만 실제 기사들의 동선과는 거리감이 있다. 각 구마다 쉼터를 조성하자는 것은 이들이 최소한 노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이동노동자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선 시민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김영덕 배달플랫폼 노동조합 인천지부장은 “관심 자체가 없는 경우가 많다. 가령 배달기사들은 일명 ‘콜수’가 많은 송도국제도시에 몰려 있는데, 연수구에는 관련 조례조차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동노동자는 배달기사뿐만 아니라 학습지 교사, 정수기 관리자, 검침원, 대리기사 등 다양한 직업군을 아우른다”며 “내 이웃, 내 가족의 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직업군에 갇힌 사고가 아니라 성실하게 삶을 꾸려가는 노동자들의 처우에 관심 가져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민영 기자 jmy@incheonilbo.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