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 63%는 올해 사업계획 수립에 1300원대의 원달러 환율을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기준 환율이 1461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150원 이상 낮은 셈이다.
하지만 실제 환율과의 갭이 발생하면서 원자재 조달부담 커졌고, 대기업들도 고환율 충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는 분위기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요 대기업의 환율 영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 33.3%는 원달러 환율을 1350~1400원 범위로, 29.6%는 1300~1350원 범위에서 예측하고 올해 사업 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1400~1450원 범위의 환율을 적용한 기업은 18.5%였다. 현재 수준인 1450~1500원 범위로 원·달러 환율을 예측하고 적용한 기업은 10곳 중 1곳(11.1%)에 불과했다.
때문에 상의는 사업계획 수립 당시 적용한 환율과 실제 환율과의 갭이 커 대다수 대기업들이 환율 충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분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상의에 따르면 환율상승으로 국내 대기업이 겪는 어려움을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원자재 및 부품 조달비용 증가’(3.70점)가 가장 높았다. 이어 ‘해외투자 비용증가’(3.30점), ‘수입결제시 환차손 발생’(3.15점)가 뒤를 이었다.
조사에 응한 대기업들은 절반 가까이가 고환율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상반기 환율수준을 어떻게 전망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44.4%가 “1450원 이상 1500원 미만”이라고 답했다.
상의는 이에 대해 고환율에 따른 실적 개선이 ‘옛말’이 됐다고 평가했다.
환율상승은 수출가격이 하락하는 효과가 있어 수출 주도형인 우리경제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해외 현지생산 비중이 높아지고, 환헷지 달러화 결제가 늘어나면서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상의 관계자는 “우리 대기업들은 이제 가격보다는 기술과 품질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고품질 원자재 수입가격이 오르면서 영업이익에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초 비상계엄 사태로 1430원대까지 올랐다. 설상가상 지난달 18일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2025년 금리인하 횟수를 조정하겠다고 발표하면서 1450원을 돌파했다. 이후 27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표결 직후 1470원을 돌파했고 현재 1450원이 넘는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