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업들의 로봇산업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혁신 제품을 대거 선보이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타깃한 가전과 헬스케어 분야에서 신제품을 집중적으로 쏟아내는 모습이다. 국내 기업도 연내 제품 출시를 통해 시장 공략 본격화를 예고하고 있어 한중 기업간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CES 핵심 주제로 ‘AI를 통한 노동혁신’이 꼽히면서 국내외 기업이 경쟁적으로 로봇 제품을 선보이며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로봇팔이 달린 로봇청소기부터 슈트처럼 착용해 신체능력을 높일 수 있는 로봇 등을 선보였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선보인 가정용 로봇과 유사한 제품을 내놓으며 후발주자로 뛰어드는 모습도 포착됐다.
삼성전자 바로 옆에 부스를 마련한 중국 TCL은 가정용 로봇 ‘에이미(AiMe)’를 공개했다. 바퀴 달린 알 속에 캐릭터가 담겨있는 형태를 한 에이미는 가정 내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와 맞춤형 상호 작용을 한다.
반려동물처럼 아이와 함께 놀기도 하고, ‘메모리 리코더’로서 가족과 의미있는 순간을 포착해 보존하는 역할도 한다. 또 집안을 순찰하며 개인화된 대화 경험을 제공한다. 아직까지 구체적인 스펙이나 세부 기능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제품 출시는 내년 중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에이미는 모양과 기능이 국내 기업 제품과 유사해 ‘베끼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2020년 CES에서 가정용 로봇 ‘볼리’를 처음 공개했다. 노란 공 모양의 볼리는 세계 최초 원·근접 투사가 모두 가능한 듀얼렌즈 기반의 프로젝터를 탑재해 벽과 천장, 바닥 등에서 최적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행한다. 삼성전자는 올해 CES에서 볼리를 상반기 중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지난해 ‘이동형 AI 홈허브(Q9)’를 선보였다. LG전자 역시 연내 Q9을 출시한다는 목표다. 스크린과 양쪽 다리(바퀴) 형태를 갖춘 Q9은 감정을 표현하고 춤을 추는 등 사용자와 상호작용한다.
중국의 로보락도 가전 로봇 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다. 올해 CES에서 선보인 사로스 Z70 로봇청소기는 몸통 상단 정중앙에 기계식 팔을 장착하고 있는데, 이같은 제품을 선보인 곳은 로보락이 세계 최초다. 로봇팔은 집 안에 떨어진 물건을 집어 들고 지정된 곳에 옮기는 등 서로 다른 객체를 식별하고 각각의 객체를 다르게 처리한다. 300g 이하의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최대 108개 품목을 감지해 분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가 헬스케어 시장 공략을 위해 선보인 웨어러블 로봇 ‘봇핏’과 흡사한 제품도 눈에 띈다. 중국의 로봇기업 하이퍼셸은 슈트처럼 착용하는 방식으로 근력 등 신체능력을 높여주는 외골격 장치 로봇 ‘카본X’를 선보였다. 해당 제품은 최첨단 로봇공학과 인체공학, AI를 콤팩트한 형태로 결합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CES에서 최고혁신상을 받았다. 운동능력 향상과 교정 등 기능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삼성전자의 봇핏과 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글로벌 기업들이 로봇 시장에 주목하는 것은 향후 로봇의 활용성이 더욱 확장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자리잡을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글로벌 로봇 시장 규모가 지난해 780억달러(약 115조원)에서 2029년 1650억달러(약 243조원)까지 커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최근 투자와 조직개편 등을 통해 로봇사업을 강화하며 미래 준비를 하고 있다. 최근 로봇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기존 14.71%에서 35%로 확대하며 최대주주로 올랐으며, 대표이사 직속의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했다. 이를 토대로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 등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LG전자 역시 지난해 AI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에 6000만달러를 투자했으며, ‘LG 클로이’를 통해 상업용 로봇 시장도 적극 공략하고 있다.
박혜원 기자
sunone@chosunbiz.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