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연재] 한강하구 이야기(12)

인천일보 조회수  

강화 서남부에 일었던 강화·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계획이 잠잠해지기 무섭게 강화 북동부 갯벌에 또 하나의 거대 프로젝트가 터져 나왔다.

2008년 3월 11일 이명박 정부가 TF를 구성해 강화 교동 앞바다 풀등 30㎢에 밑그림을 그린 인공 섬, ‘나들섬’ 프로젝트였다. 대북정책인 ‘비핵·개방 3000’ 구상을 갯벌에 담기로 한 것이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하면, 10년 안에 1인당 국민소득을 3000달러로 끌어 올리겠다는 지원책이었다.

정부는 당시 인구 20만 명을 수용할 나들섬 조성에 총사업비 2조원이 들 것으로 내다보았다. 전체 부지 가운데 40%는 도로, 하수처리장 등 공공용지와 녹지 공간 등으로 활용하고, 나머지 60%는 민간에 매각해 개발하도록 할 방침이었다.

▲ 강화군 양사면 철산리 제적봉 안보관광 전망대에서 바라본 나들섬 프로젝트 예정 지 였던 교동 북쪽 개펄. /인천일보DB
▲ 강화군 양사면 철산리 제적봉 안보관광 전망대에서 바라본 나들섬 프로젝트 예정 지 였던 교동 북쪽 개펄. /인천일보DB

1782만㎡에 이르는 토지 매각대금은 8조1천억원(3.3㎡당 150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2400억원을 투입해 남북 공동으로 3만t급 선박 6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항만시설과 5600억원을 투입해 인천·서울~개성·평양을 잇는 도로도 건설할 계획이었다.

나들섬 개발의 논리는 간단했다. 평균 5m 이하로 낮은 수심을 보이는 강화 등 인천만은 바닷물이 빠졌을 때 3분의 2가 펄로 드러난다. 26억6000만㎥에 달하는 모래가 쌓인 덕이었다.

인천만 북부의 모래톱(4억8000만㎥)을 이용해 인공 섬을 만들자는 게 나들섬 프로젝트의 뼈대였다. 정부가 450억원을 들여 남북 공동으로 환경영향평가를 거쳐 2013년까지 나들섬 건설을 끝낸다는 복안이었다.

▲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 등 물길에 쓸려나온 쌓인 강화 교동 인근 모래톱. /인천일보DB
▲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 등 물길에 쓸려나온 쌓인 강화 교동 인근 모래톱. /인천일보DB

이명박 정부의 나들섬 프로젝트는 고려대 남성욱 교수 등 친이 학자들이 주장해온 ‘한반도 공동번영 대전략’의 한 갈래였다.

갯벌매립을 통한 산업과 물류단지 조성이 축인 ‘한반도 공동번영 대전략’은 엄청난 프로젝트다. 통일 후까지 3단계로 나눈 간척지 조성면적은 모두 644.7㎢로 여의도의 220배에 달한다.

석모도 서부(97.2㎢)~강화 북부(47㎢)~강화 남부(152.7㎢)~영종도 북부(54.1㎢)~강화 주문도 서부(33.3㎢)~해주만 일대(260.4㎢)에 이른다. 인천·경기만 갯벌(838.5㎢)의 79%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문제는 이 거대 프로젝트가 현실화했을 때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에서 쏟아지는 물을 담수할 수 있는 공간(갯벌)이 없다는 점이었다.

이들 강물의 70%가 통과하는 석모수로와 30%를 소화해 내는 염하수로의 물길이 막힐 경우 강물은 한강으로 거슬러 올라가 경기 북부에 대홍수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나왔다.

▲ 강화군 양사면 철산리 한강하구 너머 보이는 북한의 개풍 지역. /인천일보DB
▲ 강화군 양사면 철산리 한강하구 너머 보이는 북한의 개풍 지역. /인천일보DB

임진강 하류~한강 하구~강화군 말도 연안부에 쌓인 모래를 캘 경우 꽃게 산란장인 옹진군 연평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나들섬이나 한반도 공동번영 프로젝트에 대한 반론과 대안이 봇물을 이뤘다. 굳이 갯벌을 매립하지 말고 섬을 이용하자는 제안이다.

강화 북부 갯벌이 아닌 교동도를, 강화 서부 갯벌이 아닌 석모도와 주문도를 직접 대북경협의 전초기지로 활용하자는 의견이다. 이래야만 강화의 자연생태·역사문화관광지 조성의 취지를 제대로 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검증과정 없는 추진으로 실효성 논란으로 빠졌던 ‘나들섬’조성 프로젝트는 결국 유야무야됐다.

/박정환 선임기자 hi21@incheonilbo.com

인천일보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폴더블 원조는 다를까…삼성, 두 번 접는 ‘트리폴드폰’ 공개 임박
  • 혼다·닛산 합병 불발에 닛산 눈독 글이는 대만 폭스콘
  • 두 아파트 사이에 공공 기숙사 추진… 구청에 반대 민원 쏟아진다는데
  • ”제2 젠틀몬스터는 누구?” K패션 한 축된 아이웨어 브랜드
  • 추경 편성, ‘대부분’ 적자국채로 충당해야… 시장 “부담 크지만 감내 가능”
  • “젊어서 더 위험” 매년 무섭게 증가하는 ‘이 암’ [건강 팁]

[뉴스] 공감 뉴스

  • 화재 현장서 발견된 '강아지 사료통'…소방관 눈썰미에 구조된 생명
  • "민주당 망하는 길" 비명계 향한 유시민 독설에…고민정 "입틀막은 오래전부터"
  • 與 '尹 줄면회' 예고에 고개드는 '강성론'…우려 커진다
  • 글로벌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애기봉…정월대보름달 환하게 밝혔다
  • 美 1위 차지하더니 “없어서 못 판다” .. 초대박 터진 ‘한국 기업’
  • "리터당 25.6km 달리는 외국 효자"…1700만원 '갓성비 세단' 정체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투싼·스포티지에 질린 아빠들” 이 SUV 수입해달라고 난리났다!
  • “충전 한 번에 최대 701km” BMW가 내놓은 순수 전기차 뉴ix의 위력
  • “이러니 현대차 안팔리지” 2천만원대 BYD 야심작 또 나온다!
  • “방심하면 그대로 저승행” 올 겨울 정말 심한 빙판길 운전 주의보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아모림한테 찍힌 금쪽이 이적하더니 태도 180도 바뀌었네!…"환상적인 훈련을 소화" 사령탑도 감탄했다

    스포츠 

  • 2
    김사윤 4000만원 지각계약, 김민식 고군분투, 임석진 퇴단…KIA·SSG 3년 전 트레이드 ‘재미 못 보네’

    스포츠 

  • 3
    “사랑하는 언니 자연으로 돌려보낼 것” 서희원 유족, 마지막까지 고인 뜻 따랐다

    연예 

  • 4
    EBS1 '극한직업' 초콜릿 外

    연예 

  • 5
    "이제 출전 시간 늘릴 것" 사령탑 컨펌! 첼시 탈출 실패한 '990억 FW', 마레스카 체제서 '첫' 주전 도약

    스포츠 

[뉴스] 인기 뉴스

  • 폴더블 원조는 다를까…삼성, 두 번 접는 ‘트리폴드폰’ 공개 임박
  • 혼다·닛산 합병 불발에 닛산 눈독 글이는 대만 폭스콘
  • 두 아파트 사이에 공공 기숙사 추진… 구청에 반대 민원 쏟아진다는데
  • ”제2 젠틀몬스터는 누구?” K패션 한 축된 아이웨어 브랜드
  • 추경 편성, ‘대부분’ 적자국채로 충당해야… 시장 “부담 크지만 감내 가능”
  • “젊어서 더 위험” 매년 무섭게 증가하는 ‘이 암’ [건강 팁]

지금 뜨는 뉴스

  • 1
    “이거 국산 車 맞아?”.. 국내 도로에서 처음으로 포착된 전기 플래그십 SUV 정체에 ‘발칵’

    차·테크 

  • 2
    이정도면 '바겐 세일', 무려 600억 깎은 가격에 살 수 있다…'아모림이 만든 괴물' 이적 시장 뒤흔든다

    스포츠 

  • 3
    계란 그냥 삶지 마세요…이 방법은 평생 써먹습니다

    여행맛집 

  • 4
    ‘미우새’ 김승수, 53세까지 결혼 못한 이유 밝혀졌다

    연예 

  • 5
    상도역카페 중 대형카페 찾는다면, 무조건 카페레인보우!

    여행맛집 

[뉴스] 추천 뉴스

  • 화재 현장서 발견된 '강아지 사료통'…소방관 눈썰미에 구조된 생명
  • "민주당 망하는 길" 비명계 향한 유시민 독설에…고민정 "입틀막은 오래전부터"
  • 與 '尹 줄면회' 예고에 고개드는 '강성론'…우려 커진다
  • 글로벌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애기봉…정월대보름달 환하게 밝혔다
  • 美 1위 차지하더니 “없어서 못 판다” .. 초대박 터진 ‘한국 기업’
  • "리터당 25.6km 달리는 외국 효자"…1700만원 '갓성비 세단' 정체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투싼·스포티지에 질린 아빠들” 이 SUV 수입해달라고 난리났다!
  • “충전 한 번에 최대 701km” BMW가 내놓은 순수 전기차 뉴ix의 위력
  • “이러니 현대차 안팔리지” 2천만원대 BYD 야심작 또 나온다!
  • “방심하면 그대로 저승행” 올 겨울 정말 심한 빙판길 운전 주의보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추천 뉴스

  • 1
    아모림한테 찍힌 금쪽이 이적하더니 태도 180도 바뀌었네!…"환상적인 훈련을 소화" 사령탑도 감탄했다

    스포츠 

  • 2
    김사윤 4000만원 지각계약, 김민식 고군분투, 임석진 퇴단…KIA·SSG 3년 전 트레이드 ‘재미 못 보네’

    스포츠 

  • 3
    “사랑하는 언니 자연으로 돌려보낼 것” 서희원 유족, 마지막까지 고인 뜻 따랐다

    연예 

  • 4
    EBS1 '극한직업' 초콜릿 外

    연예 

  • 5
    "이제 출전 시간 늘릴 것" 사령탑 컨펌! 첼시 탈출 실패한 '990억 FW', 마레스카 체제서 '첫' 주전 도약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이거 국산 車 맞아?”.. 국내 도로에서 처음으로 포착된 전기 플래그십 SUV 정체에 ‘발칵’

    차·테크 

  • 2
    이정도면 '바겐 세일', 무려 600억 깎은 가격에 살 수 있다…'아모림이 만든 괴물' 이적 시장 뒤흔든다

    스포츠 

  • 3
    계란 그냥 삶지 마세요…이 방법은 평생 써먹습니다

    여행맛집 

  • 4
    ‘미우새’ 김승수, 53세까지 결혼 못한 이유 밝혀졌다

    연예 

  • 5
    상도역카페 중 대형카페 찾는다면, 무조건 카페레인보우!

    여행맛집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