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수익성 제고를 위해 무리한 운항을 강행하고 있다는 사실이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사고를 계기로 수면 위로 떠올랐다.
5일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LCC들은 대형 항공사에 비해 조종사와 여객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조종사 1인당 국제선 운항 횟수는 오히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23년 기준 제주항공의 국제선 여객기 운항 횟수는 4만5063건으로 국내 LCC 중 가장 많았다.
이는 대형항공사인 아시아나항공의 4만1112건을 상회하는 수치다.
그러나 제주항공의 조종사 수는 656명으로,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1417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조종사 수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여객기 운항 횟수는 비슷한 수준을 기록한 것이다.
제주항공의 국제선 여객기 운항 편수는 2023년 1~11월 4만729편에서 2024년 같은 기간 4만7026편으로 15.5% 증가했다.
여객기 1대당 운항시간도 ▲2022년 208시간에서 ▲2023년 412시간 ▲2024년 상반기 430시간으로 급증했다. 이는 단순 계산으로 하루 평균 14시간 이상 운항한 셈이다.
이런 상황은 제주항공이 안전보다 수익을 우선시했다는 비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3·4분기 누적 매출 1조4854억원을 기록하며 애경그룹 내 매출 1위 자회사로 부상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02억원으로, 그룹 내 다른 자회사인 애경산업(435억원)과 애경케미칼(177억원)의 2~6배에 달했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제주항공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지난 2023년 기준 조종사 1명당 평균 국제선 여객 운항 편수가 가장 많은 곳은 ▲에어부산(76.75편)이었으며 ▲에어서울(75.75편)이 그 뒤를 이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항공 안전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으며, LCC들의 운항 정책과 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