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아쉬웠던 지난해… 기로에 선 요기요, 올해는 재도약할까

시사위크 조회수  

지난해 업계 3위로 추락하는 등 아쉬움을 남긴 요기요가 올해는 재도약읠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위대한상상
지난해 업계 3위로 추락하는 등 아쉬움을 남긴 요기요가 올해는 재도약읠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위대한상상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배달앱 요기요가 아쉬웠던 2024년을 뒤로하고 2025년 새해를 맞아 재도약의 시동을 걸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업계 내 경쟁 및 현안이 여전히 예사롭지 않은 가운데, 올해 행보 및 성과에 따라 미래가 크게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 3위 추락에 잦은 수장 교체… 2025년 ‘중대기로’

요기요에게 2024년은 아쉬움이 컸던 해다. 출발부터 흔들렸다. 앞서 업계 2위 자리를 공고하게 지켜왔던 요기요는 2023년 말 무렵부터 쿠팡이츠의 거센 추격에 직면하더니 2024년 들어서는 결국 주요 지표에서 쿠팡이츠에게 추월을 허용했다.

이에 따라 기민한 대응이 필요했지만, 요기요는 안팎으로 뒤숭숭했다. 2023년 11월 서성원 전 대표가 돌연 물러나더니 지난해 1월엔 그의 뒤를 이어 취임했던 이정환 전 대표도 두 달여 만에 석연치 않게 떠났다. 이 같은 대표 교체 속에 주주사간 갈등설이 표출되기도 했다.

이후에도 녹록지 않은 행보가 이어졌다. 요기요를 제친 쿠팡이츠는 내친김에 업계 1위 배달의민족까지 겨냥하며 공세의 수위를 높였고, 배달의민족 역시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면서 업계 전반에 ‘출혈경쟁’ 양상마저 나타났다. 이로 인해 요기요의 입지는 더 큰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 5월엔 스승의 날을 맞아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해 ‘교사 비하’ 논란을 일으켰다.

또한 배달앱 업계 내 가열된 경쟁은 이내 점주와의 상생이란 민감한 문제로 이어지며 업계 전반을 뒤숭숭하게 만들었고, 적잖은 진통과 갈등을 낳았다.

요기요는 올해 업계 2위에서 3위로 내려앉는 한편, 잦은 수장 교체로 혼란을 겪었다. / 뉴시스
요기요는 올해 업계 2위에서 3위로 내려앉는 한편, 잦은 수장 교체로 혼란을 겪었다. / 뉴시스

요기요의 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지난해 9월엔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실시하며 허리띠를 졸라맸다. 이어 지난해 10월엔 연초 취임했던 전준희 전 대표가 또 다시 물러나며 잦은 수장 교체를 반복했다.

이런 가운데, 요기요의 가치 및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척도는 추락을 거듭했다. GS리테일의 지난해 3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보유 중인 요기요 운영사 위대한상상 지분 30%의 장부가액은 494억9,000만원까지 떨어졌다. 3년여 전 지분 인수 당시 3,077억원을 투입했는데, 장부가액이 500억원 밑으로 추락한 것이다. 2023년 3분기 기준 1,341억6,500만원, 지난해 2분기 기준 1,152억8,300만원이었던 점에 비춰보면 장부가액 감소 추이가 걷잡을 수 없는 모습이다.

물론 희망적인 요소도 있었다. 요기요는 배달앱 업계의 화두로 떠오른 점주와의 상생 측면에서 경쟁사에 비해 앞서가는 모습을 보이며 차별화를 꾀했다. 또한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 등 적극적인 노력에 힘입어 4분기 들어 흑자전환의 성과를 이뤘다고 밝혔다.

올해는 요기요에게 중대기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도 지난해와 같은 아쉬운 행보가 이어질 경우, 추락이 걷잡을 수 없이 가속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갈 길은 멀다. 업계 3위로 추락하는 등 흔들린 입지는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다. 요기요에 비해 탄탄한 여력을 갖춘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가 올해도 경쟁적인 공세를 펼 경우, 요기요의 입지가 더욱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플랫폼 기반 가업에서 점유율 및 이용자수 감소는 무척 치명적인 악재다.

조직 내 안정도 요구된다. 요기요는 2023년 11월 이후에만 세 차례나 대표가 교체됐다. 특히 앞서 물러난 두 전 대표의 평균 재직기간은 반년도 되지 않는다. 가뜩이나 심각한 위기 상황을 마주하고 있는 가운데, 잦은 수장 교체는 혼란과 불안을 키울 수밖에 없다.

요기요가 올해 안정을 되찾고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시사위크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문재인 "윤석열 발탁 두고두고 후회...조국에 한없이 미안"
  • 변비 없애고 적극 치료해야 ‘뒤끝’없다
  • 대공황 시기 해고당한 가장의 씁쓸한 초상
  • 류규하 중구청장, 정월대보름 맞아 경로당 36곳 방문
  • 속도 내는 한화그룹 사업 재편...한화오션 지분 한화에어로로 일원화
  • 남의 나라 정치에 개입했다가 혼쭐난 머스크…영국, 독일서 테슬라 판매 급감

[뉴스] 공감 뉴스

  • 도시철도 운송 적자…해법도 안 보인다
  • 저장강박증 앓던 노인, 안타까운 죽음
  • 4만 6000 군무원 쌓인 불만… ‘군무원연대’ 띄웠다
  • 팀장 사퇴·부장 항의에...‘언론노조 한겨레 비판’ 기사 논란 끝 출고
  • 순천지역 시·도의원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한 목소리
  • “다시 연대의 시간”…이재명-김동연 공조 청신호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드디어 나오는 토레스 하이브리드” 투싼,스포티지보다 좋다고?
  • “KGM 살릴 수 있을까?” 토레스 하이브리드, 환경부 인증 완료, 출시 언제?
  • “엄마들 세컨카로 제격!” 캐스퍼, 레이 소형 전기차 중 뭐살까 급고민
  • “이래도 안 사?” 캐스퍼 일렉트릭 크로스, 루프 올리고 터프해진 파격 변신
  • “BMW, 아우디 이긴 팰리세이드” 아빠들 애간장 타게 만드는 인기 비결은?
  • “제네시스급 럭셔리 미국 SUV” 관심 폭발한 지프 최초의 전기차
  • “투싼·스포티지에 질린 아빠들” 이 SUV 수입해달라고 난리났다!
  • “충전 한 번에 최대 701km” BMW가 내놓은 순수 전기차 뉴ix의 위력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82메이저, 태국 방콕 달궜다…팬미팅 매진 속 성료

    연예 

  • 2
    ‘더 폴: 디렉터스 컷’ 타셈 감독 “韓 관객 편지에 아기처럼 울어”…자필 메시지까지

    연예 

  • 3
    맨시티 '1600억' 윙어의 부활 다짐…"작년은 내 인생에서 가장 어려운 해, 이제 새로운 시작 맞이했다"

    스포츠 

  • 4
    '충격' SON, 옛 스승이 부른다! '스페셜원 체제' 페네르바체 러브콜..."이번 여름 최우선 타깃 선정"

    스포츠 

  • 5
    “현대차가 해냈다” .. 전문가들도 인정한 한국車의 ‘정체’

    차·테크 

[뉴스] 인기 뉴스

  • 문재인 "윤석열 발탁 두고두고 후회...조국에 한없이 미안"
  • 변비 없애고 적극 치료해야 ‘뒤끝’없다
  • 대공황 시기 해고당한 가장의 씁쓸한 초상
  • 류규하 중구청장, 정월대보름 맞아 경로당 36곳 방문
  • 속도 내는 한화그룹 사업 재편...한화오션 지분 한화에어로로 일원화
  • 남의 나라 정치에 개입했다가 혼쭐난 머스크…영국, 독일서 테슬라 판매 급감

지금 뜨는 뉴스

  • 1
    3점포 쾅쾅쾅쾅쾅쾅쾅쾅→오늘은 내가 해결사! 릴라드 43득점 7R 8AS 大폭발…아테토쿤보 공백 지우고 밀워키 V 견인

    스포츠 

  • 2
    KIA 출신 레전드 투수가 준 자신감…최원준은 예비 FA 외야수 최대어임을 증명할까, 10홈런보다 이것

    스포츠 

  • 3
    요리하는 돌아이 '윤남노 셰프'의 신상 맛집…디핀 을지로 '점입가경'

    여행맛집 

  • 4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전 꼭 확인해야 할 '필수' 주의사항 2025 Ver. (+공항 보조배터리 용량)

    여행맛집 

  • 5
    “여기가 그렇게 예쁜데 잘 몰라요”… 무료 즐길 수 있는 3월 ‘벚꽃 명소’ 2곳

    여행맛집 

[뉴스] 추천 뉴스

  • 도시철도 운송 적자…해법도 안 보인다
  • 저장강박증 앓던 노인, 안타까운 죽음
  • 4만 6000 군무원 쌓인 불만… ‘군무원연대’ 띄웠다
  • 팀장 사퇴·부장 항의에...‘언론노조 한겨레 비판’ 기사 논란 끝 출고
  • 순천지역 시·도의원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한 목소리
  • “다시 연대의 시간”…이재명-김동연 공조 청신호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드디어 나오는 토레스 하이브리드” 투싼,스포티지보다 좋다고?
  • “KGM 살릴 수 있을까?” 토레스 하이브리드, 환경부 인증 완료, 출시 언제?
  • “엄마들 세컨카로 제격!” 캐스퍼, 레이 소형 전기차 중 뭐살까 급고민
  • “이래도 안 사?” 캐스퍼 일렉트릭 크로스, 루프 올리고 터프해진 파격 변신
  • “BMW, 아우디 이긴 팰리세이드” 아빠들 애간장 타게 만드는 인기 비결은?
  • “제네시스급 럭셔리 미국 SUV” 관심 폭발한 지프 최초의 전기차
  • “투싼·스포티지에 질린 아빠들” 이 SUV 수입해달라고 난리났다!
  • “충전 한 번에 최대 701km” BMW가 내놓은 순수 전기차 뉴ix의 위력

추천 뉴스

  • 1
    82메이저, 태국 방콕 달궜다…팬미팅 매진 속 성료

    연예 

  • 2
    ‘더 폴: 디렉터스 컷’ 타셈 감독 “韓 관객 편지에 아기처럼 울어”…자필 메시지까지

    연예 

  • 3
    맨시티 '1600억' 윙어의 부활 다짐…"작년은 내 인생에서 가장 어려운 해, 이제 새로운 시작 맞이했다"

    스포츠 

  • 4
    '충격' SON, 옛 스승이 부른다! '스페셜원 체제' 페네르바체 러브콜..."이번 여름 최우선 타깃 선정"

    스포츠 

  • 5
    “현대차가 해냈다” .. 전문가들도 인정한 한국車의 ‘정체’

    차·테크 

지금 뜨는 뉴스

  • 1
    3점포 쾅쾅쾅쾅쾅쾅쾅쾅→오늘은 내가 해결사! 릴라드 43득점 7R 8AS 大폭발…아테토쿤보 공백 지우고 밀워키 V 견인

    스포츠 

  • 2
    KIA 출신 레전드 투수가 준 자신감…최원준은 예비 FA 외야수 최대어임을 증명할까, 10홈런보다 이것

    스포츠 

  • 3
    요리하는 돌아이 '윤남노 셰프'의 신상 맛집…디핀 을지로 '점입가경'

    여행맛집 

  • 4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전 꼭 확인해야 할 '필수' 주의사항 2025 Ver. (+공항 보조배터리 용량)

    여행맛집 

  • 5
    “여기가 그렇게 예쁜데 잘 몰라요”… 무료 즐길 수 있는 3월 ‘벚꽃 명소’ 2곳

    여행맛집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