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비의 강, 조강(祖江.) 북의 임진강과 남의 한강이 만나는 물길이다. 눈 뜨면 강 넘어 북녘의 산과 들에 빤히 들어온다. 망향의 서러움이 몸서리친다.
통일 동산이네, 대북교류의 전초기지이네, 조강을 끼고 있는 남녘의 사람들은 저마다 그럴듯한 그림들을 내보이지만, 북녘의 땅은 대답이 없다.
임진강과 한강은 서해로 흐르면서 머금고 있던 흙을 김포(金浦)에 뱉어냈다. 군 철책이 쳐지고 뱃길이 막히면서 점차 쌓이기 시작한 토사는 김포시 북부지역에 길이 3.9㎞, 폭 2.5㎞의 널찍한 습지를 일궜다.
김포시 하성면 시암리 습지다. 한강 너머 파주시와 고양시를 마주하며 외로이 자리한다. 조강 너머 북녘땅이 손에 잡힐 듯하다.
민간인 출입이 제한된 한강 입구 시암리 습지에는 생명의 몸짓이 넘실거린다. 시암리 습지를 바로 앞에 둔 후평평야의 비옥한 농토에는 큰기러기 떼 수백 마리가 ‘꺽~꺽’ 울음소리를 내며 앉는다.
멸종위기종 저어새와 노랑부리백로도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물가에서 허기진 배를 채운다. 여느 습지처럼 논밭과 덤불 속엔 고라니가 여지없이 담박질하고, 강물 위로 불쑥 솟아오른 모래톱 위엔 철새들의 휴식이 유유자적이다.
서울과 맞닿아 있으면서도 휴전선에 접하는 김포의 부침은 여전하다. 과거에는 붙어있던 다른 도시에 땅을 떼어 주기에 바빴고, 좁아진 지금의 땅덩어리에선 건설 기계 소리가 시끄럽다. 요동치는 개발의 바람 앞에 습지보호지역인 시암리도 자유롭지 않다.
김포시는 한강 습지보호지역(60.668㎢)의 37.9%인 22.984㎢를 차지한다. 습지보호지역 중 가장 넓은 면적이다. 김포시는 북한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을 살려 서울~김포~개성을 잇는 대북교류 도시를 꿈꿨다. 통일시대를 준비하자였다.
남북화해 국면이 한창일 때 남북교류의 중심이 되는 통일화합도시라는 깃대도 세웠다. 교류 활성화를 위한 경제협력단지를 조성하고, 김포~개성을 연결하는 평화의 다리를 건설한다는 계획도 있었다.
월곶면 조강리 애기봉 일대에 높이 54m 전망탑과 전쟁체험관, 해병대 전시관, 안보 전시관, 영상관, 휴양시설 등의 유치를 내용으로 하는 5만㎡ 규모의 ‘애기봉 안보관광지’ 개발계획을 세웠다. 대곶면 신안리 산 26만5천940㎡ 일대에는 휴양문화, 상가, 숙박, 공공편익 시설을 갖춘 ‘덕포진 안보관광지’ 개발도 발표했다.
기존 도시성장 축을 중심으로 남북으로는 남북교류협력 축을, 서쪽으로 관광휴양개발 축, 북동쪽으로 첨단지식산업 축을 구상했다.
시암리 습지는 남북관계에 얽혀 바람 잘 날 없다.
/박정환 선임기자 hi21@incheonilbo.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