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공무원 육아휴직의 전체 기간을 승진경력으로 인정한다.
인사혁신처는 이런 내용의 ‘공무원임용령’ 개정안이 31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다음달 공포 즉시 시행된다.
개정안은 먼저 대상 자녀와 관계없이 육아휴직 기간 전체를 승진을 위한 근무경력으로 인정한다.
공무원 육아휴직은 자녀당 최대 3년까지 사용할 수 있지만, 그동안은 자녀 육아휴직은 최대 1년까지만 근무경력(승진소요최저연수)으로 인정하고, 둘째 이후에 대한 휴직만 전체 기간을 근무경력으로 인정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대상 자녀와 관계없이 육아휴직 기간 전체를 승진경력으로 인정받게 된다.
개정안 시행일 이전에 사용한 육아휴직 기간도 현 직급에서 사용한 휴직이라면 모두 소급해 적용한다.
근무 예정 지역 또는 기관을 미리 정해서 채용된 구분 모집자도 육아 및 모성보호를 위해서는 필수보직기간(5년)이 지나지 않았더라도 다른 지역이나 기관으로 전보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육아휴직자와 공무상 질병 휴직자의 업무를 대행하는 경우에만 업무대행수당을 받을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휴직 종류와 관계없이 모든 휴직자의 업무대행자가 수당을 받는다.
민원담당 공무원 등의 업무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인사처 예규인 ‘공무원 임용규칙’도 다음달 중 개정된다.
육아 휴직에 따른 동료의 업무 부담 증가에 따른 심적 부담을 없애기 위한 것으로 결원 보충을 폭넓게 인정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동일 자녀에 대해 육아휴직을 6개월 이상 하는 경우에만 채용이나 전보 등을 통해 해당 공석을 채울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서로 다른 자녀에 대한 육아휴직을 연속해서 6개월 이상 사용하는 경우도 결원 보충이 가능해진다.
이를테면 첫째 자녀 대상 육아휴직 3개월, 둘째 자녀 육아휴직 4개월을 붙여서 사용하면 결원 보충을 할 수 있게 된다.
민원창구나 재난 안전 대응 등 고되고 바쁜 업무 또는 기피 업무에 대해 장기재직자 등 행정 경험이 풍부한 자를 우선 배치한다.
이 원칙은 보직 관리 기준에 명시돼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격무·기피 업무에 적합하지 않은 신규 공무원이나 저연차 공무원을 배치하는 관행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만약 민원 담당자가 민원인의 폭언 등으로 신체·정신적 피해를 입어 안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공무상 요양 승인 이전이라도 필수보직기간 내 전보를 허용한다.
연원정 인사처장은 “출산·양육 친화적인 근무 여건이 조성되고, 민원담당 공무원에 대한 보호조치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공직 혁신을 위한 인사제도 개선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hyun9593@public25.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