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양육에 친화적인 기업 분위기가 가장 필요하다는 조사가 나왔다.
여기에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출산 의지가 높았고, 임신과 출산에 따른 근로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시니어 일자리 창출 등이 요구된다.
인천연구원은 초저출생 극복을 위한 시민의 일자리 여건과 환경이 혼인·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혼인과 출산 영향으로 고용안정성, 임금 수준, 근로시간 유연화 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소기업, 비정규직 등 2차 노동시간에 속한 일자리가 90% 가량을 차지하는 만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저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국에서는 지난 20여년 간 여성의 경제활동이 약 3%p 상승했다.
인천은 경제활동참가율은 61.5%에서 65.2%로 4%p 증가했고, 남성은 77.1%에서 74.6%p로 하락한 반면 여성은 46.5%에서 55.9%로 약 10%p 높아졌다.
이중 인천 비정규직은 2003년 28만 명에서 20년 후인 2024년 55만 명으로 약 27만명 증가했고, 같은 기간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33.7%에서 38.9%p 가량 상승하며 전국 평균과 비슷하다.
연구원은 이를 기초로 인천 거주 만 20~49세 남녀(취업자 및 미취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모바일 조사를 했다.
조사대상 중 51.8%는 남성, 48.2%는 여성이 차지했고 연령대는 20대 28.8%, 30대 33.0%, 40대 38.2%이다.
이들 중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의향 및 결정에 미치는 주요 요인에 대한 질문에 정규직 37.5%는 긍정적인 태도(반드시 해야 한다. 하는 것이 좋다)를 보였고, 52.5%는 중립적 태도(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를 나타냈다. 비정규직 48.7%가 중립적 태도를 보였고, 20.3%는 부정적 태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하지 말아야 한다)를 보여 정규직(10%)보다 2배 이상 높은 비율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자녀에 대한 인식은 정규직 41.3%는 긍정적 태도를 보인 반면, 비정규직 35.1%가 긍정적 태도를 비췄다.
출산 결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비정규직은 직업 불안정성, 낮은 소득 수준 같은 일자리 관련 요인이 출산 결정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임신 출산 관련 지원제도 인지 및 이용 용이 정도에서도 비정규직이 정규직보다 인지도가 낮았다.
연구원은 “노동시장 지위에 상관없이 출산 및 육아 관련 각종 지원제도를 노동자가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는 근무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며 “육아·돌봄 관련 지원제도에 이용이 어려운 직장문화를 꼽은 비중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에서 모두 높게 나온만큼 육아 친화적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접근과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주영기자 leejy96@incheonilbo.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