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대부분 지역에서 구인난보다 구직난에 시달리며 27만5000건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화성·포천·이천 등 일부 지역에서는 구인난이 관찰됐다.
26일 한은 경기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지역 불균형 극복전략-노동시장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은 경기본부가 외부 전문가와 공동으로 연구한 보고서로, 자료 통계는 2022년 기준이다.
연구 결과, 구인 비중이 구직비중보다 2.5%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해당 비중은 공간적 미스매치 지수를 이용해 산출했다. 구직 수 비중과 구인 수 비중의 차이값이 양수일 경우 구직비중이 구인 비중보다 높음을, 음수일 경우 그 반대를 의미한다.
도내 기초지자체별로는 서울과 인접한 지역을 중심으로 구직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지만, 서울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지역은 구인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나는 ‘공간적 분화현상’을 보였다. 구직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수원시로 구인비중보다 0.8%포인트 높았다. 연구·기술직(1.5%포인트), 건설·채굴직(1.3%포인트), 농림·어업직(1.2%포인트), 예술·방송직(1.1%포인트) 등의 직종이 구직난에 시달렸다.
반면 구인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화성시로, 구직비중에서 구인 비중을 뺀 결과 -2.4%포인트로 조사됐다. 설치·생산직(-5.3%포인트)이 가장 많은 구인난에 시달렸다. 영업·판매직(-2.3%포인트), 건설·채굴직(-2.1%포인트), 경영·사무직(-1.9%포인트) 등 직종에서도 인력 부족이 시급했다. 교육·법률직(0.7포인트), 보건·의료직(0.3%포인트), 숙박·음식직(0.1%포인트)에서만 결괏값이 양수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공간적 미스매치가 악화할수록 노동의 생산 참여 제약이 심화해 지역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이어 일자리 공간적 미스매치가 높다는 것은 개별 지역 내에서는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간 불균형 현상을 해소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놨다.
이에 연구팀은 행정구역 수준을 넘어서는 기능적 권역 설정을 통해 불균형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소 고용 규모를 확대해 노동시장권을 광역적으로 구성할 때 모든 직종에서 일자리 공간적 미스매치가 점차 개선된다는 의미다.
실험 결과, 최소 고용 규모를 10만명으로 했을 땐 서울권, 인천권, 파주고양권, 의정부권, 이천여주권, 수원화성권의 6개 지역노동시장권이 획정됐다. 공간미스매치값은 24.0%포인트에서 6.9%포인트로 17.0%포인트 개선됐다. 고용 규모를 30만명으로 확장할 경우 이천여주권역은 서울권에 편입되며 공간미스매치값은 18.3%포인트 개선됐다. 50만명으로 늘리면 의정부권이 서울권으로 편입되며 공간미스매치값은 18.6%포인트 나아졌다.
최종적으로 고용 규모를 100만명으로 늘리면 파주고양권마저 서울권으로 포함돼 최종적으로 서울권, 인천권, 수원화성권 등 3개 권역만 획정된다. 이 경우 공간미스매치값은 18.7%포인트 개선된 5.3%포인트로 집계됐다.
연구팀 관계자는 “교통망 확충, 일자리와 정주 여건을 결합한 도시 공간 조성을 통해 노동력 유인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라며 “이와 더불어 제도적 측면에서 협약사업 및 통합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통한 다양한 발전 전략 추진도 이뤄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전상우 기자 awardwoo@incheonilbo.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