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치를 자주 먹는 한국인이라면 김치를 보관할 때 사용하는 김치통의 강한 냄새가 쉽게 해결되지 않아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김치 냄새가 짙게 밴 통은 주방세제로 닦아도 쉽게 없어지지 않아 김치 외에 다른 반찬을 보관하기 힘들며 심할 경우 버리기도 한다. 김치뿐만 아니라 냄새가 강한 다른 반찬들 역시 마찬가지다. 바로 이럴때 반찬통, 김치통에 밴 냄새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1. 밀가루를 활용한 냄새 잡는 방법

김치통에 밴 냄새는 세척으로도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 이럴 때 활용할 수 있는 재료가 바로 밀가루다. 밀가루를 물과 섞어 주면 냄새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먼저 밀가루와 물을 2:1 비율로 섞어 김치통 절반 정도의 양만큼 부어준다. 이후 뚜껑을 닫고 1~2일간 밀가루물을 그대로 보관한다. 하루가 지나면 김치통을 거꾸로 뒤집어 뚜껑 부분의 냄새도 빠질수 있도록 한다. 2일이 지나면 밀가루물을 버리고 주방 세제로 깨끗하게 닦아낸다.
마지막으로 햇빛에 30분 정도 말려주면 밀가루의 글루텐 성분이 냄새 입자를 흡수해 김치통에 남아 있던 냄새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2. 냄새 잡기 달인 쌀뜨물 활용하기

쌀뜨물도 김치통이나 반찬통의 냄새를 제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쌀을 씻을 때 나오는 쌀뜨물은 녹말이 풍부하게 포함돼 있어 냄새 입자 흡수에 도움을 준다. 이때 쌀뜨물에 베이킹소다를 소량 추가해주면 더욱 효과적으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쌀뜨물을 이용해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은 밀가루와 같다. 베이킹소다를 넣어 준 쌀뜨물을 김치통에 절반 정도가 찰 만큼 부어주고 1~2일 정도 기다려준다. 중간에 뚜껑까지 효과적으로 냄새가 제거될 수 있도록 뒤집어주면 더 좋다. 만약 김치통에 사용되는 고무패킹에도 냄새가 심하게 뱄다면 이 역시 쌀뜨물에 같은 기간동안 담궈놓으면 된다.
밀가루와 쌀뜨물은 집에서 구할 수 있는 간단한 재료들로 김치통의 냄새를 확실하게 없애는 데 효과적이다. 두 가지 방법 모두 화학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방식으로 냄새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과 건강에도 안전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