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이고은 기자] 한국 영화계의 원로 배우 나문희(83)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영화 프로젝트로 관객들과 만난다. 24일 개봉 예정인 ‘나야, 문희’는 나문희를 주인공으로 한 생성형 AI 단편영화 공모전에서 선정된 5편의 작품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한 영화다.
이 프로젝트에는 박원표 감독의 ‘쿠키게임’, 유지천 감독의 ‘나문희 유니버스’, 원경혜 감독의 ‘지금의 나, 문희’, 정은욱 감독의 ‘두 유 리얼리 노우 허'(DO YOU REALLY KNOW HER), 이정찬 감독의 ‘산타 문희’ 등 5편의 단편이 포함됐다. AI 기술을 통해 구현된 나문희는 이들 작품에서 산타, 모나리자, 우주인 등 다양한 캐릭터로 변신해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11일 서울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시사회에서 나문희는 영화를 관람한 후 소감을 밝혔다. 그는 “제가 몸이 자유롭지 않은데 영화에선 날개를 달고 날아다니니까 너무 좋았어요. 제가 실제로 가보지 않은 곳에 가서 앉아 있는 모습을 보는 것도 행복하네요”라고 말했다.
나문희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게 됐다며 기쁨을 표현했다. 그는 “가만히 있어서 뭐 하겠느냐. 죽을 날만 기다리는 것보다 사는 날까지 활동하고 움직이는 게 좋다”며 지속적인 도전 의지를 드러냈다.
제작사 MCA의 박재수 대표는 이번 프로젝트의 독특성을 강조했다. 그는 “실제 스타 배우가 AI 영화에 등장하지 못하는 이유는 (배우를) 그럴듯하게 구현하는 게 굉장히 어렵기 때문”이라며 “나문희 선생님이 이런 기회를 주셔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나 ‘나야, 문희’에서 구현된 나문희의 모습은 실제와 비교했을 때 목소리나 발성, 외모 등에서 다소 어색한 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우 출신으로 뚜렷한 대사 전달력을 지닌 나문희의 장점이 완벽하게 재현되지는 않았다.
이에 대해 나문희는 “영화를 보면서 ‘내가 소리에 대한 에너지가 아직 있구나’를 느꼈다”면서 “처음엔 (영화 속 목소리가) 미흡하다고 생각했는데 나중엔 나와 아주 비슷한 목소리가 나오더라”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박 대표는 “‘나야, 문희’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서나가는 기술이 총동원됐다”며 “아쉬운 부분이 있을 테지만 다음에는 더 발전한 영화를 선보일 것”이라고 향후 발전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이날 상영회 후에는 나문희가 당선작 감독들에게 상패와 상금을 전달하는 시상식도 진행됐다. 대상은 정은욱 감독의 ‘두 유 리얼리 노우 허’에게 돌아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