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민 담화, 탄핵 심판 변론 기일 등에서 비상계엄 주요 명분으로 ‘부정선거’를 내세웠던 윤석열 대통령. 현직 대통령이 부정선거 의혹을 정면으로 제기하자 부정선거론도 몸집을 키워갔다. 지난 1월 25일, 유명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는 한 대규모 기도회에서 “부정선거는 더 이상 음모론이 아니”라고 목소리 높이기도 했다. 정말 대한민국에서 선거 조작은 가능한 것일까. ‘추적 60분’이 부정선거론의 탄생과 확산 과정을 추적해 봤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12일 대국민 담화에서 “민주주의 핵심인 선거를 관리하는 전산 시스템이 이렇게 엉터리인데 어떻게 국민이 선거 결과를 신뢰할 수 있겠나”라며 선관위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추적 60분’ 제작진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찾아 실제 선거 투개표 과정을 시연, 선거를 둘러싼 의혹들을 확인해 봤다.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측의 말대로 ‘빳빳해보이는 소위 신권 투표지는 중간에 투입된 가짜 투표지인가‘, ‘의혹이 제기된 각종 투표지는 정말 부정선거의 증거가 되는 것인가’, ‘투표지 분류기 해킹은 가능한 것인가’부터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이들의 핵심 증거인 ‘대수의 법칙’의 타당성까지 하나하나 짚어봤다.

부정선거론이 확산되며 국민들은 양극단으로 나뉘었고, 사회적 혼란도 커지고 있다. 여기에 일부 극우 유튜버들은 부정선거의 배후로 중국을 지목하며 ‘혐중 정서’도 부추기고 있는 상황. 계엄 선포 이후 확산된 ‘중국인 해커 99명 체포설’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음에도 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튜브를 통해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런 가짜뉴스는 어떻게 확산되고, 어떻게 믿음으로 굳어지는지 그 과정도 살펴봤다.
선거가 치러질 때마다 떠올랐던 부정선거론은 지난 2002년 16대 대선에서도 존재했다. 당시 유력했던 이회창 후보를 꺾고 노무현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어 개표 조작설이 불거졌으나, 재검표 결과 득표 집계 오류는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그로부터 10년 후, 2012년 18대 대선에서도 박근혜 후보의 당선으로 또다시 부정선거론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분류표에 비해 미분류표에서 박근혜 후보의 표가 지나치게 많다는 주장이 제시되기도 했다.

1월 19일, 서울서부지방법원이 공격당했다. 전문가들은 민주적 절차를 무력화하려는 폭력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법치주의를 흔드는 행위에 대해 우려했다. 부정선거론은 왜 때마다 반복되는가. 그리고 어떻게 힘을 키워갔는가. ‘추적 60분’ 1401회 ‘선거를 믿지 않는 사람들’ 편은 2025년 2월 21일 금요일 밤 10시에 KBS 1TV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 이영지 “박보검, ‘더 시즌즈’ MC 하려면 ‘슈퍼노바’ 출줄 알아야”
- 헨리코튼, 도큐먼트와 컬렉션 출시…롯데百 애비뉴엘 팝업
- 몬스타엑스 기현, 군 전역 “민간인이 되었다!!!!!”
- ‘가보자GO’ 김다현, 윤수일 ‘아파트’ 판소리·트로트·가요 버전 노래 ‘감탄’
- 스파오, 봄 아우터 컬렉션 공개…바시티부터 트위드 재킷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