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키 17 기자간담회 봉준호 감독 나오미 애키 마크 러팔로 스티븐 연 / 사진=티브이데일리 DB |
[스포츠투데이 서지현 기자] ‘봉테일(봉준호+디테일)’이 돌아왔다. 봉준호 감독과 로버트 패틴슨, 나오미 애키, 스티븐 연, 마크 러팔로가 함께 만든 ‘미키 17’이다.
20일 오전 서울시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미키 17′(연출 봉준호·배급 워너브러더스코리아) 기자간담회가 진행돼 봉준호 감독, 배우 나오미 애키, 스티븐 연, 마크 러팔로가 참석했다.
‘미키 17’은 위험한 일에 투입되는 소모품(익스펜더블)으로, 죽으면 다시 프린트되는 미키(로버트 패틴슨)가 17번째 죽음의 위기를 겪던 중, 그가 죽은 줄 알고 ‘미키 18’이 프린트되면서 벌어지는 예측불허의 이야기를 그리는 작품이다.
봉준호 감독은 ‘미키 17’로 로버트 패틴슨, 나오미 애키, 마크 러팔로, 스티븐 연과 호흡을 맞추게 됐다. 특히 앞서 진행된 시사회 당시 봉준호 감독은 다른 작품에서 미처 보지못했던 배우들의 새로운 얼굴을 발견했다는 평이 이어진 바 있다.
이에 대해 봉준호 감독은 “제가 아무래도 성격이 이상하다보니까 사람을 볼 때도 이상한 곳만 보게 되는 것 같다. 어느 한 구석에 흔히 알려진 모습과 다른 모습이 보이면 거기에 집착이 생긴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봉준호 감독은 “마크 러팔로가 그동안 한 번도 악역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 신기할 따름”이라며 “그 첫 번째 기회가 저한테 왔다는 것이 신나고 재밌었다. 영광스럽게 대본을 드렸더니 낯설어하셨다. ‘왜 나에게?’ ‘내가 뭘 잘못했어요?’ 이런 느낌이었다. 하지만 너무 멋질 것 같았다”며 “독재자들에겐 위험한 매력이 있다. 역사 속 독재자들도 무섭기만 한 게 아니라 대중들을 휘어잡는 기괴한 매력이 있다. 마크 러팔로가 그런 걸 잘 해줄 것 같았다. 마샬로 단순히 소리만 지르는 것이 아니라, 위험하지만 이상한 귀여움이 있다. 그걸 잘 해줄 것이라 생각했다”고 믿음을 드러냈다.
이어 나오미 애키에 대해선 “독재자에게 엄청난 에너지로 소리를 지르면서도, 목소리로 설득력을 주는 나오미 애키다. 휘트니 휴스턴 전기 영화에서 직접 연기했던 배우다. 총과 칼이 아니라, 목소리 하나로 제압해버리는 모습에 영국 시사회 땐 박수가 나오기도 했다. 그런 에너지를 가진 나오미를 알아봤다는 것에 자부심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스티븐 연은 저와 ‘옥자’ 때 작업을 했었다. 제가 생각한 ‘미키 17’은 SF영화지만 땀냄새가 난다는 점이었다. 스티븐 연의 도움 없인 힘들었다. 티모라는 역할은 일반적인 SF 장르 속 캐릭터가 아니다. 모든 분들이 제가 생각한 것 이상의 역할을 보여주셨다. 저에겐 희망이었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봉준호 감독과 첫 호흡을 맞춘 배우들의 소감도 이어졌다. 마크 러팔로는 ‘미키 17’로 생애 첫 악역 연기에 도전했다. 극 중 독재자 마샬 역을 맡은 마크 러팔로는 “출연 제의를 받아서 놀랐다. 이 배역이 나에게 주어진 것이 맞는지 대본을 다시 봤다. 결국엔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다. 저 자신도 저를 의심했는데 저를 믿어준 감독에게 감사하다”며 “연기를 보고 만족할 순 없다. 항상 미완성인 부분이 보이고 좀 더 잘할 수 있었는데, 다르게 할 수 있었는데 생각이 들 때가 많다. 결국 영화가 나온 결과물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다. 동시에 겁도 난다. 처음 시도하기 때문”이라며 “아직 리뷰를 안 읽어봐서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다만 영화의 취지에 맞춰 연기를 하는 것이 저의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미키의 연인이자 요원 나샤 역을 연기한 나오미 애키는 “나샤는 저를 자유롭게 했던 역할이었다. 굉장히 진정성있고, 진실하다. 캐릭터를 보게 되면 다른 캐릭터들은 비밀이 있고, 감정을 숨기지만 나샤는 솔직하다. 대본을 읽으면서 이런 캐릭터를 연기하면서 신났다”고 애정을 드러냈다.
밉상이자, 미키의 친구였던 티모 역의 스티븐 연은 “대본 속 티모는 모두가 그를 싫어한다. 미움받는 캐릭터인데, 저는 타인의 시각을 무시하면서 살진 못했었다. 저의 개인적인 경험들을 바탕으로 티모를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티모도 약점들이 있다. 그런 것들도 탐구를 했고, 전체적으로 재밌는 캐릭터였다”고 말했다.
![]() |
미키 17 기자간담회 봉준호 감독 나오미 애키 마크 러팔로 스티븐 연 / 사진=티브이데일리 DB |
특히 ‘미키 17’은 해외 시사회 당시 악역 마샬 캐릭터를 두고 특정 정치인을 떠올리게 된다는 반응이 이어지기도.
다만 이를 연기한 마크 러팔로는 “이 인물이 과연 과거엔 어떤 인물이고, 무엇을 했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지만, 특정 인물을 연상시키지 않길 바란다. 전형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정치인의 모습을 그려낸 것”이라며 “째째하고, 그릇이 작은 독재자들을 오랜 시간 봐 왔다. 그것이 반복되고 있다. 독재자들은 자신만 안다. 연약한 자화상도 갖고 있다. 그러다 실패하기도 한다. 아마도 다양한 인물들이 의도적으로 들어갔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인물의 액센트나 말하는 방식이 변화한다. 조금 더 해석의 여지를 열어두고 싶었다. 사람들이 더 많은 해석을 하길 원했다. 여러 인물을 발견하고, 전 세계에 있는 모든 지도자들을 연상할 수 있게 만들고 싶었다.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할지는 예상하지 못했다”며 “영화에 많은 것들이 나온다. 2년 전에 알지 못했지만 현실에 나타나게 된 요소들도 분명히 있다. 사람들이 보게 됐을 때 소름끼치게도 담았다고 생각할 여지도 있다. 저희는 정말 이렇게 될 줄 몰랐다. 신이 그렇게 만드셨을 수도 있고. 3년이 더 지나고 나면 이 영화가 더 많은 의미를 지닐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봉준호 감독 역시 “베를린 영화제에서 여러 나라 기자들이 모여있었다. 거기서도 기자분들과 인터뷰를 했는데 나이가 지긋한 이태리 여성 기자분이 ‘마샬 캐릭터가 무솔리니에서 영감을 받았냐’고 하시더라. 파시스트 군복 느낌도 그렇다고 하더라”며 “‘그럴 수도 있다’고 답했는데, 역사 속 존재했던 다양한 정치적인 악몽들, 독재자의 모습이 많이 녹아있다. 각 나라분들이 자신의 정치적 상황을 투영해서 보는 것 같다. 마샬 부부를 두고 루마니아 차우세스코 부부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정치적 악몽에 대한 이야기를 마크 러팔로가 훌륭하게 표현해준 것 같다. 각 나라마다 다른 지점으로 해석하더라”고 전했다.
아울러 봉준호 감독은 “‘미키 17’을 보면서 관객들이 공감과 위로를 얻길 바란다. 미키가 여러 가지 힘든 상황 속에서도 결국 부서지지 않고 살아남았다는 건, 연약하고 불쌍한 청년이지만 결국 그가 파괴되지 않았다는 것이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라고 이야기했다.
끝으로 봉 감독은 “‘미키 17’은 작품이 스펙터클하기도 하지만, 배우들의 풍부한 연기들을 대형 화면을 봤을 때 그것 자체가 스펙타클하다. 극장에서 안 보시면 후회하실 것”이라고 자신했다.
‘미키 17’은 28일 개봉한다.
[스포츠투데이 서지현 기자 ent@stoo.com]
「가장 가까이 만나는, 가장 FunFun 한 뉴스 ⓒ 스포츠투데이」
- “쉴 새 없이 욕해” 故 김새론·오요안나, 끝나지 않는 ‘사회적 타살’ 원인은 [ST이슈]
- 박수홍 김다예 부부, 공동명의로 압구정 아파트 70억 매수 ‘최고가’
- 애런 저지, 2026 WBC 출전 의사 밝혀…”두고 보자”
- ‘편스토랑’ 이상우·김소연, 귀염둥이 조카에 미소만발 [TV스포]
- ‘AV 표지 업로드’ 박성훈·’학폭’ 김히어라, ‘유퀴즈’ 자막서 ‘아웃’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