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주요 금융사들이 연초부터 GD, 차은우, 장원영 등 최정상급 연예인들을 잇따라 광고모델로 영입하며 고객 유치 경쟁에 나섰다.
저금리 기조와 대출 관리 강화로 수익성 확보가 시급해진 금융권이 파급력 있는 스타들을 통해 예·적금과 급여통장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하나금융이 1월 초 빅뱅 출신 GD를 시작으로, 신한은행이 2월 배우 차은우를, 우리은행이 14일 아이브 장원영을 각각 새 광고모델로 발탁했다.
이들은 모두 연예계 ‘톱티어’ 급 스타들로, 최고 수준의 출연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은 배우 박은빈을 대표 모델로 내세웠고, 은행은 에스파와 피겨스케이팅 김연아, 배우 이영애를 자산관리 부문 모델로 기용하며 여성 모델 위주의 라인업을 구축했다.
신한은행은 뉴진스와 소속사의 분쟁 등이 겹치면서 계약을 연장하지 않고 종료했다. 이후 ‘얼굴천재’ 차은우를 영입했으며, 자산관리 서비스 모델로는 배우 김수현을 활용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축구선수 손흥민, 가수 임영웅, 아이브 안유진, 방송인 강호동, GD 등 ‘초호화’ 라인업을 구성했다.
특히 임영웅의 경우 팬들의 금융상품 가입으로 이어지는 등 실질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금융은 장기 모델인 가수 아이유를 비롯해 그룹 라이즈, 배우 김희애를 자산관리 브랜드 모델로 기용했다. 최근에는 ‘초통령’ 장원영을 영입하며 젊은 층 공략을 강화했다.

반면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연예인 모델을 기용하지 않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