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TV 스포츠W 임가을 기자] ‘스윙 데이즈_암호명 A’(이하 ‘스윙 데이즈’)는 냅코 프로젝트와 유일한 박사의 독립운동을 모티브로 창작된 뮤지컬로, 제이슨 하울랜드 작곡과 김희재 작가 등의 창작진이 참여했다.
작품의 소재로 차용된 냅코 프로젝트는 일제 치하의 1945년, 대한민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OSS(미국 CIA 전신)가 비밀리에 준비한 작전이다. 8월 18일 작전 시행을 목표로 애국심 강한 한국인 19명으로 구성했으며, 제약 회사 유한양행을 창업한 유일한 박사가 ‘암호명 A’로 이 작전에 참여했던 사실은 그가 세상을 떠난 20년 후에서야 밝혀졌다.
![]() |
▲ 사진=컴퍼니연작 |
극을 이끄는 주인공은 유일한 박사를 재구성한 ‘유일형’이다. 작품의 오프닝 넘버 ‘미스터 갬블러’에서 파티장 정문을 열고 등장하는 그는 멋들어진 백정장을 차려입고 폼나게 시가를 문 신사다.
화려한 파티와 어울리는 스윙재즈풍 음악은 ‘스윙 데이즈’라는 작품의 제목과 194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시대적 배경에 녹아들어 적극적으로 쓰인다. 풍성한 브라스 세션이 선보이는 사운드가 귀를 사로잡고, 뮤지컬이 갖추는 오락적인 측면에서도 즐거움을 더한다.
흔히 독립운동가를 떠올렸을 때 드는 이미지와는 정반대되는 일형의 첫인상과 마찬가지로 일형은 몸을 사리지 않고 조국을 위해 인생을 내던지는 애국 투사와는 거리가 멀다. 미국에서 성공한 삶의 일부를 떼어서 하는 금전적인 지원으로 ‘적당한’ 독립운동을 펼치던 그는 상해에서 주최한 비즈니스 파티에서 만난 독립운동가 ‘베로니카’를 만나 인생의 전환점을 맞게 된다.
일본군에게 쫓겨 어린 소년 ‘노아’와 함께 파티장에 들어온 그는 재치 있게 대응한 일형과 그의 친구 ‘황만용’의 도움을 받아 위기를 넘기지만, 이후 총독부와 통화하는 일형을 보고 친일파라 착각한다. 모든 전말을 다 알게 되고서도 베로니카의 냉랭한 태도는 변치 않았다.
![]() |
▲ 사진=컴퍼니연작 |
안전한 곳에서 돈 몇 푼으로 죄책감에서 벗어나려 한다며 일형을 비난한 베로니카는 이내 떠나버리고, 그와 동시에 잠복하고 있던 일본인 중좌 ‘야스오’에 사살당한다.
작품의 초입부에 죽음을 맞이하는 베로니카는 이후 원혼처럼 일형 곁을 맴돈다. 그는 일형이 독립운동에 직접 뛰어들게 만든 계기이기도 하지만, 조선인이기에 가질 수밖에 없는 죄책감의 현신이기도 하다.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 베로니카는 처절한 조선의 실상, 그리고 일형이 지닌 내면의 갈등을 노래해 몰입도를 더한다.
일형과 깊게 맞닿아있는 우정도 작품의 핵심 요소 중 하나다. 어린 시절 삼총사처럼 뭉쳐 다니며 우정을 다졌던 일형, 만용, 야스오는 일본 장교인 야스오의 아버지가 그를 일본으로 데려가며 헤어지게 되고, 이내 조선과 일본이라는 다른 진영에서 맞닥뜨리게 된다.
이북 사투리를 사용하며 위트를 더하는 만용은 일형과 유쾌한 티키타카를 선보이며 작품의 유머를 담당하고, 일본인 아버지와 조선인 어머니에서 태어난 야스오는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모습을 드러내며 입체적인 캐릭터를 선보인다. 특히 그의 고뇌를 담아낸 ‘한 걸음’은 불안정한 음계 구성이 매력적인 솔로 넘버로, 주인공에게 못지않은 박수를 끌어낸다.
![]() |
▲ 사진=컴퍼니연작 |
극 중 하이라이트로 꼽히는 장면은 카미카제 작전을 표현한 ‘멈출 수 없어’다. 웃으며 공부하던 학생들이 희망찬 군가를 연상시키는 선율에 맞춰 비행모를 눌러쓰고 홀린 듯이 몸을 내던지는 퍼포먼스와 그들을 온몸으로 막아서려 하는 일형의 감정 연기가 돋보이는 장면이다. 화려한 무대 연출과 합창으로 웅장함을 더한 해당 장면은 1막의 마지막을 근사하게 장식한다.
작품 자체는 냅코 프로젝트를 소재로 썼지만, 독립운동이라는 대의보다는 그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인물들의 심리와 관계를 확대해 초점을 맞춘 듯한 느낌이다. 나라를 위한 거창한 애국심보다도 나와 내 소중한 사람을 위해 헌신하고 희생하는 과정을 담은 서사는 극적인 재미를 더하는 것과 동시에 현대사회를 살고 있는 이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일형의 독립운동과 우정, 사랑을 한 번에 담았기 때문인지 번잡스러운 느낌도 있다. 비교적 평이한 속도로 흘러간 1막에 비해 많은 일들이 진행되어야 하는 2막은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만한 사건도 짧게 비추고 넘어가 스쳐 지나가는 인상이 강하다. 완벽하게 마무리되지 않고 막을 내리는 결말도 관객에 따라 호불호가 나뉘는 지점이기도 하다.
한편 ‘스윙 데이즈_암호명 A’는 유준상, 신성록, 민우혁, 고훈정, 이창용, 김건우, 정상훈, 하도권, 김승용, 김려원, 전나영, 이아름솔 등이 출연하며 오는 2월 9일까지 충무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된다.
[저작권자ⓒ SW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