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막차 타자’ 대출금리 오르고 예금금리 내려도 은행 ‘문전성시’

조선비즈 조회수  

그래픽=정서희
그래픽=정서희

최근 시중은행 가계대출과 예·적금 잔액이 동시에 늘어나고 있다. 은행권이 가계대출 억제를 위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를 올리고, 예·적금 금리가 하락하는 데도 이례적 현상이다. 가계대출과 예·적금 금리가 각각 더 오르거나 떨어지기 전에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715조7383억원으로 전월(708조5723억원)보다 7조1660억원 불어났다. 가계대출은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2021년 4월(9조2266억원) 이후 3년 3개월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주담대가 가계대출 증가를 견인했다. 지난달 주담대 잔액은 559조7501억원으로 전월(552조1526억원)보다 7조5975억원 증가했다. 사실상 거의 모든 가계대출 증가량이 주담대에서 발생했다.

은행들은 금융 당국 압박에 지난달 주담대 금리를 잇달아 인상했다. 지난 2일 기준 5대 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4.03~6.52%로 한 달 전 3.67~6.62%에 비해 하단이 0.36%포인트 올랐으며 3%대 주담대는 없어졌다. 실제 국민은행은 지난달에만 주담대 금리를 세 차례에 걸쳐 최대 0.53%포인트 인상했다. 신한은행 역시 지난달 주담대 금리를 네 차례 걸쳐 최대 0.70%포인트 인상했다.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도 지난달 주담대 금리를 최대 0.20%포인트 인상했다.

주담대를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증가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이유는 부동산 경기 회복으로 대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322건으로 2020년 12월 이후 3년 6개월 만에 7000건을 넘어섰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률(0.30%)도 2018년 9월 둘째 주(0.45%) 이후 5년 10개월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 당국이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을 두 달 연기해 오는 9월에 시행하는 것도 막차 타기 수요에 불을 지폈다.

서울의 한 은행 앞 대출 현수막. /연합뉴스
서울의 한 은행 앞 대출 현수막. /연합뉴스

시중은행의 정기 예·적금 잔액도 늘어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909조3403억원으로 전월(891조1524억원)보다 18조1879억원 증가했다. 정기예금 잔액은 4월까지 하락하다 5월 16조8242억원, 6월 1조4462억원 증가했다. 정기적금도 6월 34조6084억원에서 7월 35조7311억원으로 1조1227억원 늘었다. 3월까지 감소세였던 정기적금은 증가세로 돌아선 뒤 ▲4월 1조803억원 ▲5월 1조302억원 ▲6월 1조1252억원으로 매월 1조원 이상 불어나고 있다.

정기예금 금리가 기준금리 수준까지 내려가면서 투자 매력도가 떨어졌음에도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하반기 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만큼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받기 위해 정기 예·적금을 찾는 것이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이미 채권시장에도 반영되고 있다. 정기예금의 준거 금리인 은행채 1년물 금리는 올해 초만 해도 3.706%에 달했으나 지난 1일 3.262%까지 하락했다. 예금금리도 떨어지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평균 예금금리(단리·12개월 만기)는 최고 연 3.35~3.45%로 지난 6월 연 3.42~3.54%에서 상단 0.09%포인트, 하단 0.07%포인트 내렸다.

대출금리가 오르고 예금금리가 내리는 가운데 여·수신 잔액이 늘며 은행권 예대금리차 확대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실제 5대 금융지주의 올해 상반기 총 이자이익은 25조1144억원으로 전년 동기(24조536억원) 대비 4.4% 늘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최근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으로 은행이 대출 금리를 인상하지만, 오는 9월부터 스트레스 DSR 2단계를 도입하면 대출이 깐깐해지니 그 전에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은행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대출 금리를 올리지만,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면서 이자 이익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경제] 공감 뉴스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 줄도산 공포에 “특단의 조치 꺼내 들었다”…정부의 결심에 ‘술렁’
  • 10년 만에 3배 훌쩍 “라면도 김밥도 아니다”…외국 엄마들 ‘홀딱’ 반한 이것, 뭐길래?
  • “하늘이 살해 교사 계획범죄 가능성”…맘카페 반응, 심상치않다
  • “미리 알고 주식 매도 했다”… 신풍제약 2세는 알고 있었던 소식
  • “월급 다 세금으로 나가네” ‘국민연금 개혁’ 어떻게 됐길래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모든 잘못 당신 때문이야"→맨유 폭망 원인으로 지목된 한 사람…팀 발전 막은 '장본인'으로 '낙인' 충격

    스포츠 

  • 2
    '5270억원' MVP만 특급도우미? '한국계' NLCS MVP도 있다! "김혜성 많은 성장, 좋은 선수 됐다" [MD글렌데일]

    스포츠 

  • 3
    김혜성 ML 첫 안타친 날, '샐러드 먹다 식도 파열' 돌아온 30억 유리몸 털보 투수 고백…"그땐 정말 짜증 났는데"

    스포츠 

  • 4
    '손흥민 영입설' 맨유, 가르나초 충격 방출 계획…'손흥민 이적료 확보'

    스포츠 

  • 5
    버틀러 영입 신의 한 수 되나…커리 끌고→버틀러 밀고! 확 달라진 GSW, 댈러스 완파하고 2G 연속 24점 차 대승+3연승

    스포츠 

[경제] 인기 뉴스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지금 뜨는 뉴스

  • 1
    밥 지을 때 '이것' 하나만 넣어보세요… 다이어트에도 도움 돼요

    여행맛집 

  • 2
    與, 소상공인에 100만 원 바우처 지급 추진…"필요한 곳에 직접 지원"

    뉴스 

  • 3
    이재명 "탄핵에 집중할 때"...김부겸 "개헌 의견 밝혀야"

    뉴스 

  • 4
    기사회생! U-20 축구대표팀, 13년 만에 우승 도전…결승서 한일전 성사?

    스포츠 

  • 5
    '조선의 사랑꾼' 김태원 아내 "딸 韓 결혼식 반대 이유? 자식·남편이 괴롭혀서" 눈물 [TV캡처]

    연예 

[경제] 추천 뉴스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 줄도산 공포에 “특단의 조치 꺼내 들었다”…정부의 결심에 ‘술렁’
  • 10년 만에 3배 훌쩍 “라면도 김밥도 아니다”…외국 엄마들 ‘홀딱’ 반한 이것, 뭐길래?
  • “하늘이 살해 교사 계획범죄 가능성”…맘카페 반응, 심상치않다
  • “미리 알고 주식 매도 했다”… 신풍제약 2세는 알고 있었던 소식
  • “월급 다 세금으로 나가네” ‘국민연금 개혁’ 어떻게 됐길래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추천 뉴스

  • 1
    "모든 잘못 당신 때문이야"→맨유 폭망 원인으로 지목된 한 사람…팀 발전 막은 '장본인'으로 '낙인' 충격

    스포츠 

  • 2
    '5270억원' MVP만 특급도우미? '한국계' NLCS MVP도 있다! "김혜성 많은 성장, 좋은 선수 됐다" [MD글렌데일]

    스포츠 

  • 3
    김혜성 ML 첫 안타친 날, '샐러드 먹다 식도 파열' 돌아온 30억 유리몸 털보 투수 고백…"그땐 정말 짜증 났는데"

    스포츠 

  • 4
    '손흥민 영입설' 맨유, 가르나초 충격 방출 계획…'손흥민 이적료 확보'

    스포츠 

  • 5
    버틀러 영입 신의 한 수 되나…커리 끌고→버틀러 밀고! 확 달라진 GSW, 댈러스 완파하고 2G 연속 24점 차 대승+3연승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밥 지을 때 '이것' 하나만 넣어보세요… 다이어트에도 도움 돼요

    여행맛집 

  • 2
    與, 소상공인에 100만 원 바우처 지급 추진…"필요한 곳에 직접 지원"

    뉴스 

  • 3
    이재명 "탄핵에 집중할 때"...김부겸 "개헌 의견 밝혀야"

    뉴스 

  • 4
    기사회생! U-20 축구대표팀, 13년 만에 우승 도전…결승서 한일전 성사?

    스포츠 

  • 5
    '조선의 사랑꾼' 김태원 아내 "딸 韓 결혼식 반대 이유? 자식·남편이 괴롭혀서" 눈물 [TV캡처]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