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경제신문 = 문슬예 기자] 양 측의 팽팽한 줄다리기에 당초 예정보다 1개월가량 길어진 낙농가와 유업계의 원유가격 협상이 지난달 30일 마무리됐다.
한편, 이번 협상이 이례적으로 가격을 동결하는 방향으로 결정된 것에 대해 업계가 놀라움을 표하고 있다. 지금까지 우유 생산비가 상승한 경우, 해당 상승분을 반영해 원유가격 또한 줄곧 인상돼 왔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낙농가 측의 산업적인 측면에 대한 이해와 양보로 이번 협상이 가격 동결로 마무리될 수 있었다는 의견을 전했다.
1일 <녹색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낙농가와 유업계가 올해 원유가격을 이례적으로 동결하기로 합의한 것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지난 6월 초부터 진행된 원유가격 협상은 당초 예정보다 1개월 연장된 지난달 30일에 마무리됐다. 생산자가 협상 최대치인 리터당 26원 인상을 요구한 반면, 유업계는 동결을 요구하는 등 교착 상태에 빠져 협상이 길어진 것이다.
앞서 관련 업계는 이번 협상의 결과로 원유가격 인상을 예상했다. 지금까지 원유가격 협상이 생산비 상승분을 반영해 온 만큼 가격이 인상되는 방향으로 결정되리라 본 것이다. 지난해 우유 생산비는 4.6% 상승했다.
이에 지속되는 고물가 기조로 인한 소비자 반발에 원유가격을 제품가에 즉각 반영하기 어려운 유업계의 긴장도가 높아지기도 했다.
그러나 협상의 결과는 이례적으로 원유가격을 동결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이는 지난 2016년 생산비 하락에 따른 원유가격 인하 이후 처음으로 가격을 인상하지 않기로 한 결정이다. 특히 생산비가 상승했음에도 가격이 동결된 것은 최초다.
이례적인 원유가격 동결의 배경에는 낙농업계 측의 유제품 산업 위축에 대한 이해와 양보가 있었던 것으로 관측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1일 <녹색경제신문>에 “이번 협상이 가격 동결로 마무리된 것에는 산업 위축에 대한 낙농가의 이해가 작용했다”며 “원유가격을 올릴 경우 국내 생산 우유 소비가 더 줄어드는 등 산업에 미칠 파장이 크기 때문에 낙농가 측이 양보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유업계 측이 소비가 줄어든 음용유 구매량을 줄이고 가공유 구매량을 늘리기를 원했는데, 이 또한 낙농가에서 받아들였다”고 덧붙였다.
저출생 현상이 심화되고 저렴한 수입 멸균 우유가 국내 시장에 진입하는 등, 유제품 소비구조 변화에 낙농가가 산업 진흥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는 분석이다.
그동안의 협상에서는 양 측이 가격 협상을 두고 팽팽하게 줄을 당겨왔지만, 유제품 산업 전반이 축소함에 따라 낙농가와 유업계가 시장 위기에 함께 대응하기로 한 것이다.
유업계 또한 이번 원유가격 협상이 동결로 결론지어진 것에 다행이라는 반응이다.
유업계 관계자는 1일 <녹색경제신문>에 “낙농가 쪽에서 최근 우유 소비가 크게 줄고, 산업이 어렵다는 부분을 인지하고 양보한 것으로 안다”며 “원유가격이 인상될 경우 소비 위축이 더욱 심해질 것을 걱정했는데, 동결로 협상이 마무리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지속 가능한 낙농산업 발전을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이해관계자와 함께 논의해 마련한 ‘낙농산업 중장기 발전 대책’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해당 대책을 기반으로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원유 생산 기반을 확보하고 자급률을 높이는 한편, 사양관리 개선 등을 통해 생산비를 안정화할 방침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