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미국차 존재감이 옅어진다. 신차 출시 등 상황 반전을 위해 노력하지만, 시장 흐름을 적절히 타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소비자 구미를 당길만한 제품이 없는 것도 문제다.
31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테슬라를 제외한 미국 수입차(지프·링컨·포드·캐딜락·쉐보레·GMC)의 올해 6월 누적 판매량은 5851대로, 전년 동기 8334대보다 29.8% 감소했다. 최근 5년 새 최저다.
업계는 미국차 브랜드가 시장 변화를 읽지 못했다고 분석한다. 여전히 내연기관 중심으로 판매 제품을 꾸리고, 국산·수입차 시장에서 최근 인기를 끄는 하이브리드차 라인업이 빈약하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로 시장 대응에 나서고 있으나, 1억원 이상 비싼 가격이 발목을 잡는다. 일본 렉서스가 상반기 6324대의 하이브리드차를 판매하는 동안 미국 6개 브랜드는 142대만 팔렸다. 테슬라가 이끄는 전기차 흐름에도 동참하지 못했다.
고무줄 가격으로 소비자 신뢰를 잃은 것도 치명적이다. 미국차들은 코로나19로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부족(쇼티지)이 발생하자 원가 상승을 이유로 여러 번 가격 조정을 했다. 공급망의 문제로 비용이 오른 걸 소비자에 전가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계약 후 출고를 기다리는 소비자에게도 가격 상승분을 적용해 말이 많았다”라며 “당시 점진적으로 가격을 약 30~40% 인상했는데, 독일 고급차와의 경쟁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쉽지 않은 가격이었다”라고 했다.
판매 부진으로 미국차의 국내 입지는 더 좁아졌다. 지프는 국내 진출을 준비 중인 중국 전기차 BYD(비야디)에 전시장을 내줬고, 포드는 올해 초부터 지속적인 철수설에 시달리고 있다. 포드 한국지사가 포드와 링컨의 국내 수입·판매권을 극동유화 계열 딜러(판매사)인 선인자동차에 넘길 것이라는 얘기가 공공연하다.
미국 브랜드는 신차 출시와 조직 재정비에 나섰다. 지프는 지난 1월 대표 제품인 랭글러 부분변경 모델을 내놨고,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어벤저를 국내 출시했다. 스텔란티스코리아 관계자는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정비하고 있다”라고 했다. 캐딜락은 첫 전기차 리릭을 지난 5월 선보였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