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 일자리와 정주(定住) 환경이 함께 갖춰져야 청년층의 지역 전입 효과가 극대화 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17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2006∼2021년 15년간 20∼39세 청년층의 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한 결과가 담긴 보고서를 3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총사업체 중 첨단기업 비중은 서울·경기·인천 수도권의 경우 2006년 평균 12.7%에서 2021년 23.8%로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은 9.0%에서 16.1%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번 결과를 토대로 첨단기업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청년 인구의 수도권 집중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상의는 분석했다.
비수도권에서 타지역으로 전출하는 인구 중 청년층 비중은 2019년부터 50%를 웃돌기 시작해 2023년 51.8%를 기록했다.
전출 청년 중 수도권으로 전입한 비중도 2015년 43.9%에서 2023년 47.0%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인구 전출입 추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정주 조건에 대해 계량 분석한 결과 첨단기업은 청년층 인구의 지역 유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지역 내 총사업체 중 첨단기업 비중이 1%포인트 늘면 지역 내 전입인구 중 청년층 비중은 0.43%p(포인트)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 편리성과 문화시설 등을 전국 평균 이상 갖출 시 지역 첨단기업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하면 청년층의 지역 전입 비중은 추가로 0.15%p 상승했다.
이에 상의는 문화적 욕구와 교통 접근성을 만족시키는 양질의 정주 환경과 함께 안정적 소득을 제공하는 좋은 일자리를 갖춰야 청년들의 비수도권 거주를 촉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정부 주관 첨단투자지구의 경우 지구 내 기업 정주 환경 개선 지원 수단이 미비해 기업과 근로자 수요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정주 환경 지원제도가 공급자 중심으로 설계돼 수요자가 바라는 주택 위치와 생활편의 시설 등의 충족에 한계가 있는 만큼 기업 수요 기반 근로자 임대주택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상의는 제언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청년의 지역 전입을 촉진하려면 첨단기업과 정주 환경을 동시에 갖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청년층이 다니고 싶은 일터와 정주 환경을 수요자가 직접 꾸릴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