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7년 만에 목표 달성?… 대우증권 합병 후 직원 1300명 줄인 미래에셋證

조선비즈 조회수  

국내 초대형 투자은행(IB) 중 자기자본 규모가 가장 큰 미래에셋증권이 대우증권과 합병 당시 4800여명이던 임직원 수를 3500명까지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말 통합법인이 출범했을 때 미래에셋증권 구성원 사이에선 “박현주 회장이 조직 규모를 3500명으로 축소하길 원한다”는 말이 돌았다. 합병 약 7년 만에 소문만 무성하던 그 수치에 도달한 것이다.

한 직장인이 미래에셋증권 본사가 입주한 서울 중구 수하동 미래에셋 센터원 빌딩 앞을 지나가고 있다. / 뉴스1
한 직장인이 미래에셋증권 본사가 입주한 서울 중구 수하동 미래에셋 센터원 빌딩 앞을 지나가고 있다. / 뉴스1

3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미래에셋증권 임직원 수는 3502명으로 집계됐다. 대우증권과 합병한 해인 2016년 말(4818명)과 비교하면 7년 3개월 만에 1316명 줄었다. 미래에셋증권 임직원 수는 2017년 4659명, 2018년 4563명, 2019년 4231명, 2020년 4036명, 2021년 3920명, 2022년 3706명, 2023년 3563명 등으로 매년 꾸준히 100~300여명씩 감소했다.

이는 임직원 수를 늘려온 나머지 초대형 IB와는 다른 행보다. 우리나라에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인 초대형 IB는 미래에셋증권을 비롯해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삼성증권 등 5개사다. 이 중 한국투자증권 임직원 수는 2016년 말 2502명에서 올해 1분기 말 2924명으로 422명 늘었고, 같은 기간 NH투자증권 임직원 수는 2913명에서 3091명으로 178명 증가했다.

삼성증권 임직원도 2162명에서 2613명으로 451명 늘었다. KB투자증권과 현대증권이 만나 2017년 1월 통합 출범한 KB증권 역시 인력을 계속 늘려왔다. KB증권 임직원 수는 합병 직후인 2017년 1분기 말 2788명에서 올해 1분기 말 3011명으로 223명 증가했다.

미래에셋증권의 자기자본 규모는 2024년 3월 말 기준 11조1000억원으로 국내 증권사 중 선두다. 합병 이후 지금까지 1300명 넘는 인력을 줄였지만, 여전히 국내 증권사 가운데 최다 임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지속적인 직원 감소와 관련해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인위적으로 구조조정을 하는 건 아니다”라며 “별도 공채를 실시하지 않고 부서별로 필요한 인원을 수시 채용하다 보니 자연 감소분이 큰 것”이라고 했다.

미래에셋증권 구성원 사이에서는 인력 규모가 3502명에서 더 줄어들지 않을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대우증권과 합병 이후 목표 숫자처럼 인식돼온 ‘3500’에 도달했다는 이유에서다. 한 미래에셋증권 직원은 “합병 당시 조직이 비대해지자 오너(박현주 회장)께서 적정 임직원 수로 3500명을 제시했다는 소문이 회사 내부적으로 돌았다”며 “사실인지 알 순 없으나 해당 수치까지 내려왔으니 앞으로는 이 정도 규모를 유지하지 않겠느냐는 추측이 있다”고 했다.

증권가에서는 올해 2분기 미래에셋증권 실적을 긍정적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나증권은 미래에셋증권의 연결 기준 2분기 지배주주 순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1871억원으로 내다봤다. 안영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양호한 브로커리지(위탁매매) 수수료 수익과 시중금리 하락에 따른 운용 손익 개선 등에 힘입어 시장 기대치보다 높은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며 “해외 부동산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대체투자 관련 비용도 우려보다 양호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했다.

조선비즈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미래 먹거리였는데 “한국이 또 당했다?”…예상 밖 결과에 업계 ‘발칵’
  • “역대 정부와 동일하다고?” 尹부친 묘지 CCTV 설치되자 국민들 반응 ‘깜짝’
  • 30여 년 한 우물 파더니 “마침내 날개 달았다”…시대적 흐름에 ‘방긋’
  • “등록금보다 월세가 더 무서워요” 학부모들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지역
  • 서울 아닌데도 연예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지역, 바로…
  • 한동안 방송서 안 보이던 ‘전설의 조동아리’ 멤버…이렇게 살고 있죠

[경제] 공감 뉴스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볼보 최초의 전기 세단” 벤츠부터 테슬라까지 다 잡는다!
  • “군산서 중국차 생산 확정!” 택배차 싹 바뀔 다마스급 상용차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여전히 중견수 본능 남아있지만" 트라웃, 우익수로 비공식 데뷔전 어땠나? 본인은 만족

    스포츠 

  • 2
    세종청사 옥상정원으로 봄나들이 오세요… 3월 1일부터 개방

    뉴스 

  • 3
    "하루가 급해"··· SK하이닉스 1기 팹 앞당겨 착공

    뉴스 

  • 4
    "설거지 줄이려고 자주 썼는데…" 에어프라이어에 넣으면 큰일 나는 '의외의' 물건

    여행맛집 

  • 5
    [신:스타그램] ‘멜로무비’ 김재욱의 재발견

    연예 

[경제] 인기 뉴스

  • 미래 먹거리였는데 “한국이 또 당했다?”…예상 밖 결과에 업계 ‘발칵’
  • “역대 정부와 동일하다고?” 尹부친 묘지 CCTV 설치되자 국민들 반응 ‘깜짝’
  • 30여 년 한 우물 파더니 “마침내 날개 달았다”…시대적 흐름에 ‘방긋’
  • “등록금보다 월세가 더 무서워요” 학부모들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지역
  • 서울 아닌데도 연예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지역, 바로…
  • 한동안 방송서 안 보이던 ‘전설의 조동아리’ 멤버…이렇게 살고 있죠

지금 뜨는 뉴스

  • 1
    “우리 이혼합니다”… 中, 이혼률 급격히 올라가더니 ‘결국’, 韓 “남의 일이 아니다”

    뉴스 

  • 2
    복권기금 지원으로 장애 과학기술인 연구 기회 확대

    뉴스 

  • 3
    보고된 적 없던 '강력한 환각' 신종 마약류, 국과수가 화학구조 규명 성공

    뉴스 

  • 4
    애플 등판 앞두고…삼성·화웨이·오포 '새 폼팩터' 속속 출격

    차·테크 

  • 5
    명태균 측이 조기 대선 박차 가하는 중인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을 콕 집으며 한 말: 내 눈앞이 다 새하얘진다

    뉴스 

[경제] 추천 뉴스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볼보 최초의 전기 세단” 벤츠부터 테슬라까지 다 잡는다!
  • “군산서 중국차 생산 확정!” 택배차 싹 바뀔 다마스급 상용차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추천 뉴스

  • 1
    "여전히 중견수 본능 남아있지만" 트라웃, 우익수로 비공식 데뷔전 어땠나? 본인은 만족

    스포츠 

  • 2
    세종청사 옥상정원으로 봄나들이 오세요… 3월 1일부터 개방

    뉴스 

  • 3
    "하루가 급해"··· SK하이닉스 1기 팹 앞당겨 착공

    뉴스 

  • 4
    "설거지 줄이려고 자주 썼는데…" 에어프라이어에 넣으면 큰일 나는 '의외의' 물건

    여행맛집 

  • 5
    [신:스타그램] ‘멜로무비’ 김재욱의 재발견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우리 이혼합니다”… 中, 이혼률 급격히 올라가더니 ‘결국’, 韓 “남의 일이 아니다”

    뉴스 

  • 2
    복권기금 지원으로 장애 과학기술인 연구 기회 확대

    뉴스 

  • 3
    보고된 적 없던 '강력한 환각' 신종 마약류, 국과수가 화학구조 규명 성공

    뉴스 

  • 4
    애플 등판 앞두고…삼성·화웨이·오포 '새 폼팩터' 속속 출격

    차·테크 

  • 5
    명태균 측이 조기 대선 박차 가하는 중인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을 콕 집으며 한 말: 내 눈앞이 다 새하얘진다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