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독립유공자 공적의 심층 재검증에 나선 지 1년이 지났지만 서훈 사례는 아직 없다. 독립운동에 기여한 공이 뚜렷하지만 친일 논란이 있는 동농 김가진 선생(1846∼1922)처럼 서훈받지 못한 이들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보훈부 관계자는 29일 “(보훈부) 특별분과위원회는 각 분과위에서 심층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사안 등에 대한 심사를 진행하지만, 특별분과위가 생긴 후 현재까지 서훈된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보훈부는 지난해부터 독립유공자 포상을 위한 특별분과위를 운영 중이다. 예비 심사 격인 제1공적심사위원회와 본심사인 제2공적심사위 등 2심제에 특별분과위가 추가돼 3심제로 확대됐다.
보훈부 관계자는 “김 선생에 대해 1993년 유족의 포상 신청 이후 지금까지 총 8차례 심사를 진행했으며 행적 논란의 사유로 포상을 보류했다”며 “현재까지 김 선생에 대한 (서훈) 추가 심사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보훈부는 작년 7월 독립운동의 공이 뚜렷함에도 친일 논란으로 심사에서 여러 차례 보류된 경우 공과(功過)를 따져 서훈하는 방침을 세웠다. 당시 정부 안팎에서는 김 선생과 죽암 조봉암 선생(1898∼1959) 같은 이들에 대한 서훈이 재검토 중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김가진 선생은 고종 서거 후 독립운동단체인 조선민족대동단 총재가 됐다. 대한제국 대신 출신으로는 유일하게 중국 망명까지 감행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고문을 지냈다.
김 선생의 아들 부부, 대동단원 80여 명은 독립운동가로 서훈을 받았다. 하지만 김 선생에 대한 서훈은 30년 동안 8차례나 거부됐다. 의병을 탄압하고 일제가 주는 남작 작위를 받는 등 친일 행위가 있었다는 이유에서다.
김선현 동농문화재단 이사장은 “김 선생은 정부의 정통성과 법통을 지닌 임시정부로 망명해 항일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고문으로 추대됐다”며 “서훈을 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한다.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도 “김 선생은 임시정부에서 최고 원로로 대접받았고 독립운동가들이 평가한 최고의 독립운동가였다”며 “당연히 서훈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보훈부 관계자는 29일 “(보훈부) 특별분과위원회는 각 분과위에서 심층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사안 등에 대한 심사를 진행하지만, 특별분과위가 생긴 후 현재까지 서훈된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보훈부는 지난해부터 독립유공자 포상을 위한 특별분과위를 운영 중이다. 예비 심사 격인 제1공적심사위원회와 본심사인 제2공적심사위 등 2심제에 특별분과위가 추가돼 3심제로 확대됐다.
보훈부 관계자는 “김 선생에 대해 1993년 유족의 포상 신청 이후 지금까지 총 8차례 심사를 진행했으며 행적 논란의 사유로 포상을 보류했다”며 “현재까지 김 선생에 대한 (서훈) 추가 심사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보훈부는 작년 7월 독립운동의 공이 뚜렷함에도 친일 논란으로 심사에서 여러 차례 보류된 경우 공과(功過)를 따져 서훈하는 방침을 세웠다. 당시 정부 안팎에서는 김 선생과 죽암 조봉암 선생(1898∼1959) 같은 이들에 대한 서훈이 재검토 중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김가진 선생은 고종 서거 후 독립운동단체인 조선민족대동단 총재가 됐다. 대한제국 대신 출신으로는 유일하게 중국 망명까지 감행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고문을 지냈다.
김 선생의 아들 부부, 대동단원 80여 명은 독립운동가로 서훈을 받았다. 하지만 김 선생에 대한 서훈은 30년 동안 8차례나 거부됐다. 의병을 탄압하고 일제가 주는 남작 작위를 받는 등 친일 행위가 있었다는 이유에서다.
김선현 동농문화재단 이사장은 “김 선생은 정부의 정통성과 법통을 지닌 임시정부로 망명해 항일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고문으로 추대됐다”며 “서훈을 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한다.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도 “김 선생은 임시정부에서 최고 원로로 대접받았고 독립운동가들이 평가한 최고의 독립운동가였다”며 “당연히 서훈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