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로 과일·채소류 가격이 치솟는 일이 반복되자 식품업계가 ‘스마트팜’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계약 재배 물량을 늘리는 것은 물론 직접 관련 기술을 개발하거나 농가에 설비 구축을 지원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
29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푸드는 올해 4월 경기도 여주에 위치한 4000㎡(1200평) 규모 스마트팜에서 가지를 새로 납품받아 식품 제조와 급식 사업에 활용하기로 했다. 5300㎡ 면적의 전북 무주 스마트팜에선 로메인을, 5000㎡ 크기 충남 부여 스마트팜에선 오이를 각각 확보했다. 아워홈은 주로 쌈과 샐러드에 들어가는 채소류를 스마트팜 작물로 전환하고 있다. 올해 예상 매입 물량이 지난해보다 76% 많을 정도로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다. 아워홈은 지난 25일 스마트팜 전문업체 어그레이트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향후 과채(애호박·오이·고추)와 엽채류(대파·부추)도 도입하기로 했다. 롯데마트 역시 올해 장마의 장기화에 대비해 스마트팜 농산물을 지난해보다 약 20%가량 늘렸다.
스마트팜은 첨단 기술을 접목해 빛·온도·습도·이산화탄소·배양액 등 작물이 자라는 최적의 환경을 유지하는 농장이다. 기존의 비닐 온실보다도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어 주목받는 분위기다. 최근 들어 매년 폭염과 폭우로 상추·배추·깻잎 등 작물이 타격을 입는 상황에서 매력도가 특히 커졌다. 일례로 패스트푸드 업체들은 매년 7∼8월이면 태풍으로 인해 토마토 수급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올해 배추 역시 1포기의 소매 가격이 26일 기준 5556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날보다 29.8% 오른 상태다. 한 식자재 업체 관계자는 “스마트팜은 장마철 비 피해를 받지 않아 농작물 품질이 균등하고, 예상한 물량만큼 수확이 가능해 시세 영향도 적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업계가 스마트팜 설비 구축이나 기술 개발에 뛰어드는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다. 신세계푸드는 농업법인 팜팜에 관련 설비 비용 11억 원을 지원하고, 2022년부터 5년간 토마토 생산량 1300톤 전부를 구매하기로 계약한 바 있다. 이 금액을 활용해 팜팜은 충남 논산에 2만m²(약 8000평) 크기의 최신식 스마트팜을 구축했다. 난방과 배양액 시설만 갖췄던 기존의 비닐 온실과 달리 발광다이오드(LED)와 수분 관리 등 최신식 설비를 들였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5~10년 단위 장기계약 대금을 이용해 중소규모 농가는 스마트팜으로 전환하고, 급식업체는 안정적으로 농산물을 확보하게 된다”고 했다. 풀무원은 수온 상승이나 해양 오염에 대비해 직접 3년 내 상용화를 목표로 육상 김 양식장을 연구하고 있다.
- 저금리 대출은 ‘인공호흡기 수준’…”판매금 정산 외 해법 없다”
- 남성호르몬 케어 집중하는 정관장, 알엑스진 피크업 출시
- 10년 묵은 망분리 손질…AI·클라우드 활용 길 넓어지나
- 임신질병 무료 보장…’엄마보험’ 7개월만에 4.8만명 가입
- 비은행 순익 30% 급감…체질개선 나선 기업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