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동원됐던 일본 사도광산이 지난 27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하지만 이에 대해 결과적으로 외교 실패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7일 뉴시스에 따르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이날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위치한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한다고 결정했다. 한국은 당초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역이 포함된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담을 것을 요구했고 이와 관련해 한일 간 물밑 협의가 진행됐다. 이번 등재 결정은 곧 한일 간 일정한 합의점을 찾았다는 뜻인 셈이다.
외교부는 한일 양국이 합의에 이르게 된 배경에 대해 일본 측이 광산의 전체 역사’를 현장에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해석과 전시 및 시설을 개발하고 매년 추도식을 실시하는데 동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문제는 일본 측이 ‘강제 징용’에 따른 노역이 이뤄진 역사적 사실을 적시하지 않고 ‘가혹한 환경’ 등 표현으로 노역의 배경과 환경을 이를 순화시켰다는 점이다. 실제로 사도광산 전시 공간에는 일본 측이 작성한 사료를 토대로 조선인들이 위험한 갱도 내부 작업에 투입됐으며 일본인 노동자에 비해 더 가혹한 노동 조건에서 근무했다는 내용만 있을 뿐, 강제성에 대한 언급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민족문제연구소는 성명을 내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 대표는 처음부터 끝까지 ‘한반도 출신 노동자’라는 용어를 사용했다”면서 “이 같은 용어는 (조선인) 강제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기 위해 아베 총리가 만들어 낸 말”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한국 정부는 강제동원을 부정하는 일본 정부의 역사부정론을 비판 없이 용인했다”면서 “한일 관계 개선이라는 명목으로 역사의 진실을 일본 정부에게 양보한 외교실패”라고 강조했다. 이어 조선인 노동자와 관련된 전시물도 이미 설치했다는 일본 측 주장에 대해 “전시공간이 사도광산에서 2㎞나 떨어진 박물관의 한 구획에 설치된 것에 불과하며 ‘강제동원’이라는 말도 전시에서 찾아볼 수 없다”고 짚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윤석열 정부를 향해 “정부는 사도 광산 조선인 노동자의 ‘존재’를 보여주는 전시가 이뤄졌다며 외교적 성과로 높이 평가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의 ‘한반도 출신 노동자’라는 표현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이를 어떻게 외교 성과로 자랑한다는 것인지 의문스럽다”고 직격했다.
- 고양시, 불합리한 과밀억제권 규제 개선 나선다
- “그 일만 없었으면”… ‘마약 물의’ 로버트 할리, 아내와 이혼 위기
- 기아, ‘더 뉴 K8’ 티저 공개…8월 중 출시 예정
- 대웅제약, 폐섬유증 신약 개발 ‘청신호’… 임상 지속 권고
- 금감원, 티몬·위메프 사태 대책 회의… 환불 나선 PG ‘도미노 피해’ 우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