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예보분석관의 전문성과 함께 날씨 예보의 양대 축으로 꼽히는 ‘한국형수치예보모델'(KIM)의 예측 오차가 유럽 등 기상 선진국보다 여전히 큰 걸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수치예보모델을 상시 운영·유지하기 위해 전담연구개발기관 상설화를 꾀하고 있다.
28일 기상청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환경노동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KIM의 예측 오차는 현업에서 활용하기 시작한 2020년 43.4에서 지난해 42.7로 0.7 감소했다.
예측 오차는 세계기상기구(WMO)가 지정한 평균제곱근오차(RMSE) 방식을 활용하는데, 수치가 작을수록 성능이 좋다. KIM의 경우 초기에 비해 오차가 줄기는 했으나 괄목할 만한 개선은 없었다는 의미다.
기상 선진국인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의 지난해 예측 오차는 35.2, 영국모델(UM)은 37.8이다. KIM은 미국(41.4), 일본(41.7) 모델에도 뒤진다.
2019년 KIM이 처음 운영되기까지 8년간 780억 원이 투입됐다. 다만, 해외 모델에 비해 개발·보완 기간이 짧다. ECMWF 모델이 1979년 처음 운영돼 더 많은 노하우와 데이터를 쌓은 것을 감안하면 제한된 조건에서 ‘최대 가성비’를 뽑았다는 게 국내외 평가다.
영국기상청 국장을 지낸 데일 바커 싱가포르 기상청 기후연구센터장은 지난해 뉴스1에 “한국이 약 10년 만에 독자 모델을 개발한 것은 대단한 일”이라며 “모델에 1달러를 투자하면 10~20달러의 기상·기후 재난 피해 예방 효과를 볼 것”이라고 독려한 바 있다.
수치예보 모델 고도화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호우’나 ‘도깨비 장마’, 태풍 및 폭설 등의 대응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제는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개발사업단의 활동기간이 오는 2026년 종료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기상청은 상설화, 즉 ‘전담 연구개발기관’을 희망하고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형태를 원하지만 예산과 윤석열 정부의 ‘작은 정부’ 정책 기조가 걸림돌이다.
박 의원은 “KIM 사업은 기후 위기 시대 필요한 사업”이라며 “전담 기관이 생길 경우 국민 눈높이에 맞도록 예보 정확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2월 초부터 공석이던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사업단장 채용 절차에 최근 돌입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사업단 이사회가 새롭게 구성돼 채용이 늦어졌다”며 “사업단장 인사추천위원회를 통한 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 [뉴스1 PICK]’마지막 올림픽’ 구본길의 도전…”한계에 다다랐다”
- 출발이 좋다…오상욱 ‘첫날 금 계보’ 사격·수영 각각 은·동(종합)[올림픽]
- [기자수첩] SK가 초가삼간 태우지 않고 ‘빈대’를 잡는 법
- 주차장서 또래 폭행한 여학생…카페 여주인 살해한 만취남[주간HIT영상]
- 트럼프 “미국을 비트코인 수도로…우리가 안하며 중국이 해”(상보)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