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감소지역 주민 수가 500만 명에 미치지 못하지만 생활인구 개념으로 따지면 대한민국 인구 절반이 인구감소지역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모든 인구감소지역에서 체류 인구가 등록 인구보다 많았고, 등록 인구와 체류 인구가 최대 18배까지 벌어지면서 정주 인구 감소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은 89개 인구감소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올해 1분기 생활 인구를 산정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행안부의 주민등록과 법무부의 외국인등록 정보를 이동통신사 자료와 결합한 뒤 통계청이 통계·활동 특성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산출했다.
생활인구는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으로 지난해 도입된 새로운 인구 개념으로 등록 인구(주민등록·등록외국인·재외동포거소신고자)과 체류 인구(월 1회·하루 3시간 이상 체류)를 합산한다. 지난해 인구감소지역 7곳을 선정해 생활인구를 시범적으로 산정해 발표했으며 올해부터는 인구감소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생활인구를 산정한다.
산출 결과 인구감소지역 등록 인구는 약 490만 명이었지만 체류 인구는 4배 수준인 2000만 명에 달해 전체 생활인구는 2500만 명으로 집계됐다. 모든 인구감소지역에서 등록인구보다 체류 인구가 많았다.
3개월의 분석 기간동안 등록인구는 소폭 감소한 반면 체류 인구는 설 연휴(2월)와 봄맞이(3월) 효과로 인해 1월 대비 각각 17.5%(2월), 12.5%(3월) 증가했다. 인구감소지역의 평균 체류 일수는 3.4일이고, 숙박을 한 경우에 평균 숙박 일수는 4.0일로 분석됐다.
|
인구감소지역의 등록인구 대비 체류 인구 배수는 강원이 5배로 가장 컸다. 시·군·구 중에서는 전남 구례군이 18.4배로 가장 높았다. 구례군 등록 인구는 2만4408명이었지만 체류 인구(44만9206명)를 더한 생활 인구는 47만3614명에 달했다. 체류 인구 중 타 시·도 거주자 비중은 충북(79.9%)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체류 인구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으며 연령대에서는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체류인구는 3월 기준으로 남성은1118만 명, 여성은 890만 명이었다.
행안부는 이번 분석 결과를 필요 기관에 제공해 인구감소 대응 관련 사업 및 시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난달부터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수행 중인 ‘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 특성 분석’ 연구를 조속히 추진해 체류 유형을 세분화한다. 현재 추진 중인 2분기 생활인구 산정부터는 신용카드 이용정보와 신용정보사의 직장 정보 등을 추가로 확보하고, 통계청의 전문 분석을 실시해 구체적인 체류인구 특성을 산정한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인구감소지역에서는 실제 등록인구의 5배가 넘는 규모로 산출된 생활인구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지역 활성화 정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생활인구 통계가 지역 활성화 정책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