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5연임 성공 정길호 OK저축銀 대표, 부동산PF 확대 건전성 악화 부메랑

조선비즈 조회수  

정길호 OK저축은행 대표가 5연임에 성공하며 장수 CEO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2025년 말까지 회사를 이끌면서 햇수로는 10년째 수장을 맡게 됐다. OK저축은행은 수익 다각화로 적자는 면했지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연체율이 급등하는 등 난제가 산적하다. 최근에는 기업 신용등급까지 강등돼 대표 취임 후 최대 위기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길호 OK저축은행 대표가 5연임에 성공했다. /OK저축은행
정길호 OK저축은행 대표가 5연임에 성공했다. /OK저축은행

25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OK저축은행은 이달 초 이사회를 열고 정길호 대표의 연임을 결정했다. 임기는 2025년 12월말까지로 지난 2016년부터 10년간 OK저축은행을 이끌게 됐다. 2018년부터는 이사회 의장도 맡고 있다.

정 대표는 OK저축은행을 업계 2위로 성장시키면서 경영 능력을 인정받았다. 취임 직후인 2016년 9월말 기준 자산 3조4000억원의 회사는 올해1분기 13조8000억원 규모가 됐다. 1위인 SBI저축은행과의 자산 격차는 1조원 수준이다.

성장세를 거듭하던 OK저축은행에 브레이크가 걸린 것은 지난해부터다. 고금리 장기화, 부동산 PF 대출 부실 등이 겹치면서 업계 전체가 침체기에 빠져서다. 1분기 당기순이익 149억원으로 1년전에 비해 60% 줄었다.

문제는 건전성이다. 지분투자를 늘려온 덕에 적자는 피했지만 연체율 상승 등 건전성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기업대출과 부동산PF대출 확대를 기반으로 성장해 온 만큼 부실 규모도 컸다.

OK저축은행의 기업대출은 2021년 전까지 50%대를 밑돌다가 2022년 49.6%, 2023년엔 54%를 넘어섰다. 올해 1분기엔 보수적인 대출 기조로 다시 48%까지 줄었지만 여전히 가계대출 비중(46%)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부동산 PF 대출도 가파르게 증가했다. 2021년 7000억원대 수준에서 2022년 9000억원대로 크게 늘었다. 올해 1분기엔 1조원을 넘어섰다. 2016년 말 1530억원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했을 때 지난 8년 사이 10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공격적인 대출 확대가 부메랑이 됐다. 올해 1분기 기준 연체율은 8.87%까지 치솟았다. 지난 2022년 1분기 4.07%에서 2023년 1분기 6.83%로 매해 2%포인트 넘게 뛰었다.

부동산PF 대출 부문 연체율은 더 심각하다. 2022년 1분기 3.07%에서 작년 1분기 6.64%, 올해 1분기 15.33%까지 급증했다.

부동산PF 대출 전체 잔액은 지난해 9749억원에서 올해 1분기 1조261억원으로 소폭 늘었지만 연체액 규모는 648억원에서 1573억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고정이하로 분류된 채권은 1437억원으로 전년 동기(530억원)대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말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9.48%로 1년 사이 2.18%포인트 늘었다. 이는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8%를 넘어서는 수치다.

이러한 수익성‧건전성 악화는 OK저축은행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졌다. 한국기업평가(이하 한기평)는 OK저축은행 신용등급을 기존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하향 조정했다.

한기평은 “OK저축은행의 부동산PF 익스포저가 크고 질적으로도 열위에 있는 점이 재무건전성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순이자마진 하락과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크게 저하돼 등급을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OK저축은행은 “부동산 업황에 따라 엑시트까지의 과정이 지연된 가운데 자율협약 등의 정책이 종료되면서 연체율이 상승했지만 자본력과 충당금을 고려하면 관리가능한 수준”이라면서 “연체율 관련 스트레스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실시 및 모니터링하고 부실채권을 상·매각하는 방식으로 건전성 지표를 적극 관리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IT조선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

조선비즈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미래 먹거리였는데 “한국이 또 당했다?”…예상 밖 결과에 업계 ‘발칵’
  • “역대 정부와 동일하다고?” 尹부친 묘지 CCTV 설치되자 국민들 반응 ‘깜짝’
  • 30여 년 한 우물 파더니 “마침내 날개 달았다”…시대적 흐름에 ‘방긋’
  • “등록금보다 월세가 더 무서워요” 학부모들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지역
  • 서울 아닌데도 연예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지역, 바로…
  • 한동안 방송서 안 보이던 ‘전설의 조동아리’ 멤버…이렇게 살고 있죠

[경제] 공감 뉴스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볼보 최초의 전기 세단” 벤츠부터 테슬라까지 다 잡는다!
  • “군산서 중국차 생산 확정!” 택배차 싹 바뀔 다마스급 상용차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전세사기' 끝나지 않은 재난] ③ 일상 옥죄는 비극…청춘·코리안 드림 모두 무너졌다

    뉴스 

  • 2
    대통령측 "야당이 초래한 국가비상사태...누가 내란범인가"

    뉴스 

  • 3
    다저스는 고작 39승 투수에게 1952억원을 쏟아부었다…유리몸 에이스 오명 떨쳐낼까, 올해도 ‘불안한 출발’

    스포츠 

  • 4
    4900만명에게 손흥민 투표 독려했던 베일, '여전히 손흥민을 가슴에 품고 있다'

    스포츠 

  • 5
    목포해경, 화재선박 진압과 조업 강행 관리선 3척 적발

    뉴스 

[경제] 인기 뉴스

  • 미래 먹거리였는데 “한국이 또 당했다?”…예상 밖 결과에 업계 ‘발칵’
  • “역대 정부와 동일하다고?” 尹부친 묘지 CCTV 설치되자 국민들 반응 ‘깜짝’
  • 30여 년 한 우물 파더니 “마침내 날개 달았다”…시대적 흐름에 ‘방긋’
  • “등록금보다 월세가 더 무서워요” 학부모들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지역
  • 서울 아닌데도 연예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지역, 바로…
  • 한동안 방송서 안 보이던 ‘전설의 조동아리’ 멤버…이렇게 살고 있죠

지금 뜨는 뉴스

  • 1
    [아산시 소식]2025년 악취 중점 관리 사업장 합동점검반 운영 등

    뉴스 

  • 2
    KT, 2년 연속 온나손 호텔 몬토레와 동행…호텔 측, 지배인부터 셰프까지 총출동! 환영식 개최 [MD오키나와]

    스포츠 

  • 3
    “한국에서는 답이 없다” … 심상치 않은 움직임, 정부까지 나섰지만 ‘과연’

    뉴스 

  • 4
    멸치볶음 힘들게 만들지 마세요…10배 맛있어지는 마법의 레시피

    여행맛집 

  • 5
    [인천 시정 특집] 일하고 싶은 매력적 공간…“청년들이여 오라”

    뉴스 

[경제] 추천 뉴스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볼보 최초의 전기 세단” 벤츠부터 테슬라까지 다 잡는다!
  • “군산서 중국차 생산 확정!” 택배차 싹 바뀔 다마스급 상용차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추천 뉴스

  • 1
    ['전세사기' 끝나지 않은 재난] ③ 일상 옥죄는 비극…청춘·코리안 드림 모두 무너졌다

    뉴스 

  • 2
    대통령측 "야당이 초래한 국가비상사태...누가 내란범인가"

    뉴스 

  • 3
    다저스는 고작 39승 투수에게 1952억원을 쏟아부었다…유리몸 에이스 오명 떨쳐낼까, 올해도 ‘불안한 출발’

    스포츠 

  • 4
    4900만명에게 손흥민 투표 독려했던 베일, '여전히 손흥민을 가슴에 품고 있다'

    스포츠 

  • 5
    목포해경, 화재선박 진압과 조업 강행 관리선 3척 적발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아산시 소식]2025년 악취 중점 관리 사업장 합동점검반 운영 등

    뉴스 

  • 2
    KT, 2년 연속 온나손 호텔 몬토레와 동행…호텔 측, 지배인부터 셰프까지 총출동! 환영식 개최 [MD오키나와]

    스포츠 

  • 3
    “한국에서는 답이 없다” … 심상치 않은 움직임, 정부까지 나섰지만 ‘과연’

    뉴스 

  • 4
    멸치볶음 힘들게 만들지 마세요…10배 맛있어지는 마법의 레시피

    여행맛집 

  • 5
    [인천 시정 특집] 일하고 싶은 매력적 공간…“청년들이여 오라”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