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경제신문 = 박순모 기자]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와 소프트웨어 중심 구조로 급변하는 가운데, 테슬라와 BYD가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도 주목받고 있다.
다만 자율주행 기업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제도와 투자 지원은 여전히 미비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4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전국 자율주행 기업 52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대상 기업의 69.2%가 정부·지자체의 자율주행 기업 지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는 지원이 충분하다고 답한 기업 26.9%의 3배에 가까운 수치다.
실태조사 보고서는 정부와 경기도가 자율주행 산업 육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지만, 자율주행 기업들이 지원에 대한 체감을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
테슬라 SDV 경쟁 촉발, 중국 참전…한국도 진화 중
SDV 경쟁의 서막은 테슬라가 자동차 부품을 소프트웨어로 통합·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무선 업데이트(OTA, Over the Air)를 도입하면서 시작됐다. 기존 부위별로 존재하던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를 하나로 통합해 소프트웨어로 제어하면서 SDV의 개념을 확립했다.
한편 최근 중국의 BYD는 2023년 연간 판매량에서 테슬라를 추월하며(2023년 3분기 기준) SDV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SDV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SDV 기술도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그룹의 정의선 회장은 올해 초 중장기 소프트웨어 전략인 SDx(Software-defined everything)를 발표하며 SDV 체제 전환에 전력을 다할 것을 천명했다. 이는 한국 자동차 산업이 글로벌 SDV 경쟁에서 도약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현대자동차는 전기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히기 위해 적극적으로 SDV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SDx 전략 발표에서 “소프트웨어로 정의된 차량이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과 소프트웨어 통합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국내 레이다 기술 vs 라이다 기술 경쟁…국가적 지원 무엇보다 중요
SDV 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는 자율주행이다. 국내에서는 평면 인식과 높이 인식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레이다 기술과 라이다 기술 연구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4D 레이더 센서를 개발하는 국내 기업 비트센싱은 최근 35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비트센싱은 자율주행차의 ‘눈’ 역할을 하는 센서 기술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에는 여전히 과제가 남아 있다. 최근 코엑스에서 열린 제1회 자율주행모빌리티 산업전에서는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 기술이 아직 상용화되지 못한 점이 지적되었다.
소프트웨어로 100% 제어할 수 있는 도로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인지’ 기술의 발전이 더디다는 평가도 있었다. 이는 자율주행차가 실제 도로에서 안전하게 운행되기 위해서는 기술적 발전뿐만 아니라 제도적, 인프라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의 보고서에 따르면, 테슬라와 관련된 충돌 사고가 2018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총 956건 발생했다. 이는 SDV 기술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SDV 리딩 기업 테슬라의 사고 여파는 SDV 산업 관계자들에게 큰 상징성을 지니며, 기술 개발의 중요성과 함께 안전성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자율주행 전문가는 “SDV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이 글로벌 무대에서 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라며 “정부와 기업의 협력이 이루어져 기술 발전이 가속화된다면, 한국도 SDV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