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징병제 전환에 나서는 유럽… 대규모 전쟁 우려 번져

아주경제 조회수  

스웨덴 장병들 사진연합뉴스·AP
스웨덴 장병들 [사진=연합뉴스·AP]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 안보 지형에 위기감이 커지면서 유럽 각국에서 냉전 이후 폐지됐던 징병제가 부활하고 있다.

미국 CNN은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지 2년이 넘은 현재, 유럽의 징병제가 과거에는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변화를 맞고 있다고 보도했다.

많은 유럽 국가가 냉전이 끝난 후 의무 징병을 중단했지만, 스칸디나비아와 발트해 연안 국가들은 러시아의 침략 위협 걱정에 최근 몇 년 간 징병제를 재도입했다.

라트비아는 유럽에서 징병제를 가장 최근에 시행한 나라로, 올해부터 남성은 18세가 된 후 12개월 이내에, 학업 중인 남성은 졸업과 동시에 군 복무를 해야 한다.

남성 대상 징병제를 실시하던 덴마크는 지난 3월 복무기간을 4개월에서 11개월로 늘리고 여성 징병제도 실시하기로 했다.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는 노르웨이는 “새로운 안보 환경에 맞는 방어가 필요하다”면서 지난 4월 국방예산을 거의 2배로 늘리고 징집병을 2만명 이상 늘리는 내용의 장기 국방계획을 발표했다.

스웨덴은 올해 7000명을 징집했고, 내년에는 징집 규모를 8000명으로 늘리는 등 징병 규모를 확대 중이다.

징병제 논의는 다른 국가들로도 번져가고 있다.

영국 보수당은 지난 총선 과정에서 의무 복무제를 재도입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독일도 유럽에서 큰 전쟁이 터질 것을 대비해 병력을 늘리기로 하면서 2011년에 폐지한 징병제 재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루마니아 △체코도 의무복무 도입을 논의 중이다.

웨슬리 클라크 전 나토 사령관은 유럽에 부는 징병제 바람과 관련해 “러시아가 ‘소련 제국의 재건’을 추구하면서 유럽에서 더 큰 전쟁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면서 “이는 나토에 주는 매우 임박한 경고로, 우리는 방어를 재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토는 최근 유사시 고도의 준비 태세를 갖춘 병력 30만명을 배치하고 6개월 안에 50만명을 추가로 동원할 수 있는 목표를 제시했다.

나토 회원국이 이 목표를 제대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병력을 확보할 방법을 찾아야 하고, 유럽에서 징병제 논의는 더욱 진전될 가능성이 있다.

숀 모너핸 전략국제연구센터 방문 연구원은 “나토가 당장 오늘밤에라도 싸움에 나설 정도로 항상 준비돼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장기전을 치를 준비가 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남은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방어력 증강을 위해서는 산업 능력이나 국방비 지출 등에서 과제가 남아있으며 여기에는 징집 문제도 포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주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 줄도산 공포에 “특단의 조치 꺼내 들었다”…정부의 결심에 ‘술렁’
  • 10년 만에 3배 훌쩍 “라면도 김밥도 아니다”…외국 엄마들 ‘홀딱’ 반한 이것, 뭐길래?
  • “하늘이 살해 교사 계획범죄 가능성”…맘카페 반응, 심상치않다
  • “미리 알고 주식 매도 했다”… 신풍제약 2세는 알고 있었던 소식
  • “월급 다 세금으로 나가네” ‘국민연금 개혁’ 어떻게 됐길래

[경제] 공감 뉴스

  • “이제 기차 요금까지 오르려나”…코레일 21조 빚더미 앉았다
  • 25억 올라… 전지현이 130억 주고 매매한 아파트 어디길래
  • “연금 가입하면 건보료 폭탄 사실인가요?”에 대한 공단의 답변
  • 서울 한복판 4000억 규모, “벌써부터 들썩인다”…’이 동네’ 어디길래?
  • “사상 첫 1만 명 돌파”… 의대 쏠림 현상에도 지원자 늘었다
  • 무려 98만 명 초토화 “코로나 때가 더 낫다?”…무너지는 자영업자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너무 춥다” 이승우 작심 발언, 추춘제 전환 제동?

    스포츠 

  • 2
    크래프톤 '블라인드스팟', 실내서 펼치는 CQB의 묘미... 배그 바통 이을까

    차·테크 

  • 3
    [콘텐츠&피플] 고기호 음공협 부회장, “K팝 글로벌화, 업계 '부익부 빈익빈' 해결해야”

    연예 

  • 4
    예스 24, 문학의 향기를 담은 디퓨저 컬렉션 선봬

    여행맛집 

  • 5
    [미리보는 MWC25]〈2〉텔코에서 테크코로 진화…AI 혁신 이끄는 통신사

    차·테크 

[경제] 인기 뉴스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 줄도산 공포에 “특단의 조치 꺼내 들었다”…정부의 결심에 ‘술렁’
  • 10년 만에 3배 훌쩍 “라면도 김밥도 아니다”…외국 엄마들 ‘홀딱’ 반한 이것, 뭐길래?
  • “하늘이 살해 교사 계획범죄 가능성”…맘카페 반응, 심상치않다
  • “미리 알고 주식 매도 했다”… 신풍제약 2세는 알고 있었던 소식
  • “월급 다 세금으로 나가네” ‘국민연금 개혁’ 어떻게 됐길래

지금 뜨는 뉴스

  • 1
    신동엽이 인증한 '화깨수', 누적 판매 150만개 돌파 'MZ세대 인기'

    뉴스 

  • 2
    “덕분에 살아있다”…라면 1개 외상한 실직 청년, 몇달 뒤 건넨 봉투 깜짝

    뉴스 

  • 3
    '스키남매' 박세율·박연수, 나란히 메달 획득 "함께 좋은 성적 거둬 기뻐"

    스포츠 

  • 4
    하남 미사노인복지관, 어르신들의 ‘핫플레이스’로 자리잡다

    뉴스 

  • 5
    '아스트로' 차은우, 데뷔 9주년 맞이 뭉쳤다…故문빈도 함께 "25.02.23"

    연예 

[경제] 추천 뉴스

  • “이제 기차 요금까지 오르려나”…코레일 21조 빚더미 앉았다
  • 25억 올라… 전지현이 130억 주고 매매한 아파트 어디길래
  • “연금 가입하면 건보료 폭탄 사실인가요?”에 대한 공단의 답변
  • 서울 한복판 4000억 규모, “벌써부터 들썩인다”…’이 동네’ 어디길래?
  • “사상 첫 1만 명 돌파”… 의대 쏠림 현상에도 지원자 늘었다
  • 무려 98만 명 초토화 “코로나 때가 더 낫다?”…무너지는 자영업자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추천 뉴스

  • 1
    “너무 춥다” 이승우 작심 발언, 추춘제 전환 제동?

    스포츠 

  • 2
    크래프톤 '블라인드스팟', 실내서 펼치는 CQB의 묘미... 배그 바통 이을까

    차·테크 

  • 3
    [콘텐츠&피플] 고기호 음공협 부회장, “K팝 글로벌화, 업계 '부익부 빈익빈' 해결해야”

    연예 

  • 4
    예스 24, 문학의 향기를 담은 디퓨저 컬렉션 선봬

    여행맛집 

  • 5
    [미리보는 MWC25]〈2〉텔코에서 테크코로 진화…AI 혁신 이끄는 통신사

    차·테크 

지금 뜨는 뉴스

  • 1
    신동엽이 인증한 '화깨수', 누적 판매 150만개 돌파 'MZ세대 인기'

    뉴스 

  • 2
    “덕분에 살아있다”…라면 1개 외상한 실직 청년, 몇달 뒤 건넨 봉투 깜짝

    뉴스 

  • 3
    '스키남매' 박세율·박연수, 나란히 메달 획득 "함께 좋은 성적 거둬 기뻐"

    스포츠 

  • 4
    하남 미사노인복지관, 어르신들의 ‘핫플레이스’로 자리잡다

    뉴스 

  • 5
    '아스트로' 차은우, 데뷔 9주년 맞이 뭉쳤다…故문빈도 함께 "25.02.23"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