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예탁결제원이 사모펀드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출범한 비(非)시장성 자산 관리 플랫폼에 1만 2000개가 넘는 자산이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 활성화로 업무 효율성이 개선되고 리스크가 줄어든 만큼 제도 개선과 함께 업무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21일 예탁결제원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비시장성자산 투자지원 플랫폼’에 집합투자업자 469개사, 신탁업자 18개사, 사무관리사 10개사 등이 참여 중이라고 밝혔다. 플랫폼에 등록된 자산은 1만 2478개로 집계됐다. 2022년 5월 시스템 오픈 이후에만 6만 4003건의 비시장성자산 운용지시를 처리한 것으로 집계됐다.
비시장성자산 투자지원 플랫폼이 출범한 건 사모펀드 시장이 양적 성장에도 대규모 상환·환매 연기 등으로 투자자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시장성자산은 수익성이 높지만, 종류가 다양하고 비정형화돼 수기업무처리 관행이 이어지면서 정보의 비대칭성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이에 업계 실무를 반영한 표준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전산 플랫폼을 구축해 사모펀드 시장 투명성을 강화한 것이다.
해당 플랫폼은 자본시장법과 업계 실무상 자산분류 체계를 분석해 사모펀드가 투자하는 비시장성자산 분류체계를 마련했다. 증권(90종), 파생상품(56종), 금융상품(30종), 비증권·비금융상품(특별자산 56종, 부동산 12종) 등 244종으로 구분된다. 참가자 간 자산식별이 가능하도록 자산유형별로 핵심정보를 관리하는 정보관리 체계로 구축했다.
플랫폼 구축으로 시스템에서 투자증빙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면서 참가자들의 상시적인 자산 실재성을 점검할 수 있다. 감독 당국의 사모펀드 시장 점검을 지원하고, 표준화·전산화된 운용지시 서비스 제공도 가능하다.
플랫폼 본격 가동으로 비시장성 자산 코드 표준화, 업무 전산화 등으로 효율성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업계 내부통제도 강화돼 리스크가 줄었다는 평가다. 예탁원은 플랫폼 구축에 그치지 않고 참가자 의견을 수렴해 시스템 개선과 업무 확대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중점 사업으로 비시장성 자산코드 정보관리 체계와 관련 전산시스템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예탁원 관계자는 “단계적으로 플랫폼 기능 개선을 통해 업계 참가자의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지속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