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리사와 디자이너 등 업무상 마감 시한이 촉박하고 근무시간이 불규칙한 업종에 종사하는 여성일수록 결혼과 출산 시 임금과 고용률 하락폭이 더 크다는 연구가 나왔다. 해당 직업의 경우 결혼·출산 뒤 일과 가정 양립이 어려워 회사를 관두거나 저임금 직종으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21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김민섭 부연구위원은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환경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를 보면 직업상 시간 압박이 큰 여성은 결혼 3년 후 임금 후 임금 소득이 결혼 직전보다 61.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시간 압박이 적은 여성(-51.2%)보다 10%포인트 더 높다. 이는 시간 압박이 높을 경우 급여는 낮지만 근무 여건이 더 나은 곳으로 이동하는 사례가 더 많다는 뜻이다.
고용도 비슷했다. 마감 압박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의 결혼 3년 뒤 고용률은 결혼 직전보다 46.5% 감소한 반면 시간 압박이 큰 여성은 59.1%나 줄었다. 김 부연구위원은 “노동 시장에 다시 복귀하는 여성 중 다수가 결혼 이전의 직업에 비해 근로 시간이 짧거나 시간 당 임금이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노동시장 유연성을 높여야 마감 시한이 촉박한 업종에서 일하는 여성들도 기존 고용을 유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한국은 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에 비해 임금 노동자의 근로 시간은 긴 반면 시간제 일자리의 비중이 낮아 유자녀 근로자는 일과 육아 사이에서 이분법적 선택지를 벗어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 근로 제도 등 기존의 일자리를 포기할 필요 없이 근로시간이나 임금을 조정함으로써 육아와 경력을 병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