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신용자의 ‘최후의 보루’로 불리는 대부업체가 문을 닫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이후 6개월 동안 대부업 대출 잔액 규모는 2조원, 이용자 수는 12만명 각각 감소했다. 대부업 이용자 수는 2022년 말 100만명 아래로 추락하더니 최근 70만명대까지 내려왔다.
업계를 이끌던 대형사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가 사업을 철수한 데다 법정 최고금리 인하 이후 마진을 내기 어려워지면서 줄폐업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오는 3분기 저축은행, 상호금융사 등 2금융권의 대출 조이기가 본격화되면서 저신용자의 제도권 금융 이탈이 빨라질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등록 대부업체(대부중개업자 포함)수는 8597개로 6개월 전(8771개)과 비교해 174개 감소했다. 1년 전인 2022년 말(8818개)과 비교하면 221개 줄었다.
영업을 하는 곳이 줄며 이용자도 감소했다. 지난해 말 대부업체 이용자는 72만8000명으로 상반기 말(84만6000명)보다 12만명 감소, 1년 전인 2022년 말(98만9000명)과 비교해서는 26만1000명이나 줄었다.
대부업체가 줄면서 대출잔액도 자연스럽게 감소세다. 지난해 말 등록 대부업자의 대출잔액은 12조5146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말 대비 2조775억원, 1년 전(15조8678억원) 대비 3조3532억원 줄었다.
대부업체들이 하나둘 문을 닫고 있는 건 더 이상 돈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영업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마진이 중요한데 원가 금리가 법정 최고금리를 상회해 돈을 빌려줄수록 사실상 손해를 보는 장사라는 주장이다. 대형업체들이 문을 닫으며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영향도 컸다. 업계 1위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는 지난해 9월 사업을 철수했다.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떨어지고 있단 점도 대부업 위축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대형 대부업자의 연체율(원리금 연체 30일이상)은 12.6%로 같은 해 상반기(10.9%) 와 비교해 1.7%포인트나 올랐다.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조달금리가 오르자 신용·담보대출의 대출금리가 상향 조정, 이는 불가피하게 연체율 상승 압력을 높였다. 지난해말 기준 신용대출 금리는 14.3%, 담보대출 금리는 13.8%로 각각 집계됐다.
━
2금융권 대출도 쉽지 않다… 저신용자 어디로
━
대부업 위축이 본격화되면서 더욱 많은 저신용자들이 ‘금융 사각지대’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 건전성을 우려한 2금융권 마저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어 하반기로 갈수록 저신용자의 제도권 금융 축소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3분기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태도는 대체로 강화 기조를 유지할 전망이다.
이 지수는 플러스(+)를 나타내면 대출 금리를 낮추거나 한도를 확대하는 등 대출 태도를 완화한다는 의미지만 마이너스(-)는 금융사들이 대출 한도를 줄이거나 금리를 올리는 등 이전보다 대출문턱을 높인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먼저 상호저축은행은 -11로 직전 분기(-14) 보다는 완화됐지만 여전히 마이너스대에 머물렀다. 상호금융조합은 -27, 생명보험회사는 -8, 신용카드회사는 0으로 각각 집계됐다.
연체율이 오르자 여신건전성 관리차원에서 대출태도 강화를 지속하는 모습이다. 실제 상호저축은행의 연체율은 올해 3월말 기준 8.8%로 집계, 상호금융조합은 같은 기간 5.08%로 각각 나타났다.
차주의 신용위험이 악화하고 있단 점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상호저축은행은 25, 상호금융조합은 45로 각각 집계, 신용카드회사는 6으로 전망됐다. 생명보험회사는 25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비은행 금융기관은 중저신용자 포용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지만 동시에 연체율 관리까지 해야해 당분간 대출을 보수적으로 취급할 것으로 보인다”며 “비은행 금융기관은 여러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비중도 커 하반기까진 리스크관리가 가장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