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경제신문 = 이선행 기자] 삼성전자가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Compute Express Link)의 개화 시기를 올 하반기로 점찍고 준비에 한창이다. 2028년이 되면 시장에서 ‘확 뜰 것’으로 예상했다.
18일 최장석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무(신사업기획팀장)(이하 최 상무)는 출입 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CXL 기술 및 삼성전자 CXL 솔루션 설명회’에서 “작년부터 CXL을 지원하는 CPU들이 이미 나와 있지만 아직까지 활성화돼지 않았을 뿐”이라며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탑재한 CPU가 올해 하반기에 많이 나올 것이다. 그에 맞춰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년부터는 충분한 네트워크 구축이 예상되며, 2028년 정도 확 뜰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데이터 처리 한계 뛰어넘는 CXL
CXL은 ‘빠르게 연결해서 연산한다’는 의미의 차세대 인터페이스다.
CPU(중앙처리장치), GPU(그래픽처리장치), 스토리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간) 등 다양한 장치를 효율적으로 연결해 보다 빠른 연산 처리를 가능토록 한다.
최 상무는 “고대역폭메모리(HBM)가 여러 고속도로 사이를 빠르게 오갈 수 있도록 돕는다면 CXL은 여러 개의 확장된 도로를 통해 용량을 더 붙일 수 있는 구조로 이해하면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여러 통신 언어를 하나로 통일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에는 스토리지, 메모리, 가속기, 네트워크가 모두 다른 언어를 사용했다. 스토리지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와 메모리 언어로 통역해서 임시 저장하는 방식이었다.
용량 확대를 위해 서버를 더 구축할 필요 또한 없다.
데이터센터나 서버의 용량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서버를 증설해야 했으나, 기존 서버에서 솔리드 스트레이트 드라이브(SSD·Solid Strate Dirve)를 꽂던 자리에 그대로 CMM-D(CXL Memory Module-DRAM)를 꽂아 사용하면 편리하게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이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CXL 기반의 D램인 CMM-D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서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다. D램의 용량 및 성능 확장 한계를 개선할 수 있어 인공지능(AI) 시대 차세대 솔루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 상무는 “이론적으로는 거의 무한대로 메모리 확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메모리 강자 ‘삼성’… CXL 리딩 자신감 내비쳐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CXL 2.0’을 지원하는 256GB(기가바이트) CMM-D 제품을 출시하고, 주요 고객사들과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최 상무는 “가시화된 수치는 매우 작을 것이지만 개화 시기가 따로 있을 것”이라면서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것이다. 메모리의 확장성을 꾀하며 분명 나아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다.
작년 5월 개발 완료한 CXL 2.0은 업계 최초로 ‘메모리 풀링(Pooling)’ 기능을 지원한다.
메모리 풀링이란 서버 플랫폼에서 다수의 CXL 메모리를 묶어 풀(Pool)을 만들고, 각각의 호스트가 풀에서 메모리를 필요한 만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CXL 메모리의 전 용량을 유휴 영역 없이 사용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병목현상이 줄어든다. 데이터센터의 경우에도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으로 서버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CXL 컨소시엄을 결성한 15개 이사회 회원사 중 하나로, 메모리 업체 중 유일하게 이사회 멤버로 선정되어 CXL 기술의 고도화 및 표준화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CXL 컨소시엄은 CXL 표준화와 인터페이스의 진화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는 협회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알리바바 그룹, AMD, Arm, 델 EMC, 구글, 화웨이, IBM, 인텔, 메타, MS,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이사회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9년 CXL 컨소시엄 발족 초기부터 글로벌 주요 데이터센터, 서버, 칩셋, 메모리 업체 등과 함께 CXL 생태계 확산을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