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껏 위축돼 있는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설립을 적극 장려하고 전문 자문기구를 만들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업계에서 나왔다. 대·중견기업 소속 CVC는 일반 금융기관과 다르게 추후 M&A를 목적으로 전략적 투자(SI)를 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CVC를 육성해 M&A 시장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또 스타트업이 인수 또는 합병되는 과정에서 법률·회계 관련 문제를 많이 겪는 만큼 이를 사전에 해결하기 위한 자문 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국회 스타트업 지원 모임인 유니콘팜이 주최하고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주관한 ‘기업 혁신을 위한 스타트업 M&A 활성화 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에서는 국내 스타트업 M&A 시장 활성화를 위한 각종 주문이 쏟아졌다. 벤처캐피털(VC) 등 스타트업 투자 기관이 주로 M&A를 통해 투자금 회수(엑시트·exit)를 하는 미국과 달리 한국은 기업공개(IPO) 비율이 높다. 미국벤처캐피털협회(NVCA)와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스타트업 회수 중 M&A가 차지한 비율은 미국은 94.6%에 달했지만 한국은 58.1%에 그쳤다.
IPO를 통한 회수는 글로벌 고금리 등으로 시장이 얼어붙을 때 더욱 어려워지는 특성을 갖는다. 스타트업은 보통 여러 단계에 걸쳐 초기 투자·육성 기관인 액셀러레이터(AC) 및 VC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는데 각 단계별로 기업가치를 산정해 지분 가격을 매긴다. 문제는 스타트업 투자 유치의 최종 단계인 IPO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낮아지면 그 전 높은 가격으로 지분을 산 투자자들이 IPO에 반대하게 된다는 점이다. 여영준 국회미래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투자 혹한기에 기업가치가 낮아지면 IPO 추진이 어려워져 투자금 회수 측면에서 M&A 중요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국내 M&A 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CVC 육성이 지목됐다. 재무적 투자(FI)를 주로 하는 전문 금융기관과 달리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그룹 내에 소속된 CVC는 모그룹과의 사업 시너지를 감안한 전략적 투자를 하는 만큼 추후 M&A 가능성도 커진다는 것이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CVC의 주 목적 중 하나는 M&A”라며 “해외에서는 CVC 투자의 10~15% 가량이 모기업 M&A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여 부연구위원은 “국내 기업들의 CVC 설립과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관련 세액 공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첨언했다.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법률·회계 자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런드리고’ 운영사 의식주컴퍼니의 정준모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의식주컴퍼니는 다른 소규모 스타트업을 인수하면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지만 그 과정에서 어려움도 많았다”며 “인수하려는 기업의 자산과 부채, 특허 등 회계를 파악하는 일과 법적 리스크를 판단하는 일과 관련해 전문적 자문을 받을 수 있으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CFO는 “대기업이 스타트업을 인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타트업 간 인수도 M&A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며 “변호사와 회계사 등으로 이뤄진 전문 자문 기구가 있다면 스타트업 간 M&A도 활발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