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디플정위)가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6차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전체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유관 부처들도 참여한 가운데 범부처 디지털 트윈 코리아 전략, AI 기반 CCTV 관제체계 고도화 방안 등 2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우선 디지털 트윈 코리아 전략과 관련해 디플정위는 민관 협력을 위한 ‘디지털 트윈 코리아 민관협의체(가칭)’를 구성하고 트윈 데이터 간 연계 활용을 위한 데이터 표준을 마련키로 했다.
디지털 트윈이란 실제 사물 또는 시스템의 구조, 동작 등을 가상세계에 동일하게 구현하고 현실과 가상세계 간 동기화된 정보를 토대로 관제·분석·실험 등 예측 과정 등에 활용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디플정위는 또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한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지원을 위해 다양한 수요 분야에 트윈을 우선 적용하고, 초기 서비스·아이디어의 제품화 전환과 수출 모델 조성을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기반을 조성한다.
향후 안전·도시·교통·에너지 등 주요 분야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발굴·고도화하고, 우수한 서비스를 도시·농어촌의 특정 구역에 집약·연계한다. 이를 토대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창출하는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연합핵심기술개발 등 고단계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하고, 디지털 트윈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확산 기술도 개발한다.
AI 기반 CCTV 관제체계 고도화와 관련해서는 이와 연계된 지원방안을 행정안전부와 함꼐 마련했다. 이번 지원방안을 통해 ‘과학기술 기반의 국민 일상이 안전한 사회 구현’을 목표로 향후 3년간 4개 전략과제가 추진된다.
구체적인 과제는 △CCTV 통합관제센터 설치·운영 근거를 명확화하고 영상정보를 재난안전 상황에 활용할 수 있도록 유기적 협조체계 마련 △저화질 CCTV(200만 화소 미만) 교체, 공원․산책로 등 관제 사각지대에 CCTV 확충 등 기술적 인프라 보강 △민관과 협력해 지능형 관제 활용률이 높은 밀집·폭우·도심화재 등 6개 기본 탐지모델과 생성 AI 모델 등을 활용한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실증 △영상정보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신뢰성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될 수 있도록 현장 영상정보 기반의 지능형 학습 플랫폼을 구축하고 AI와 영상분석 기업, 연구기관 등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등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 트윈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 의사결정을 통해 복잡한 현실문제를 해결가능한 ‘디지털 심화시대 최적화 기술'”이라며 “국민이 일상생활 곳곳에서 널리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디지털 트윈 코리아’ 구현을 위해 위원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국민들께서 안전하게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민간기업과 긴밀히 협력해 지자체의 CCTV 관제 기술과 역량을 높여 나가고, AI와 영상분석 산업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고진 디플정위 위원장은 “지난 2년 간 위원회는 관계부처와 함께 민생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기업 성장에 보탬이 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에 힘써왔고,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며 “오늘 논의된 안건들을 포함해, AI·데이터 기반의 디지털플랫폼정부 완성을 조속히 추진해 국민들께서 ‘가장 선진적인 정부’를 체감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