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 내 첨단기술, 부동산 공백 채울 수 있어”
관건은 미국 봉쇄 노력 극복
“첨단기술·3대 신산업, GDP 비중 23%로 커질 것”
중공업→기술 중심 전환 성공 한국과 비교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대대적인 산업 재편이 경기둔화 수렁에서 벗어날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현지시간) 중국 경제성장률이 2분기 4.7%로 5분기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그 속에서도 시 주석이 오랫동안 추구해온 기술 중심의 ‘고품질 성장’이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는 사실이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기자동차, 태양광, 반도체 산업의 발전이 현재 중국 경제 최대 ‘아킬레스건’인 부동산시장 불황 충격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중국 경제는 주택시장 불황과 그에 따른 소비 둔화로 허덕였지만, 기술 발전과 수출 붐에 힘입어 상반기 경제성장률은 목표치인 5%를 유지했다. 2분기 신규주택 가격이 2015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소매판매 역시 18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지만, 지난달 산업생산은 1년 전 대비 5.3% 증가하면서 견실한 흐름을 이어갔다.
특히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이코노믹스(BE)는 첨단기술산업이 수년 내 부동산 시장의 공백을 충분히 메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건은 중국이 미국 주도의 봉쇄 노력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에 성공하면 첨단기술 부문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18년 11%에서 2026년 19%로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의 새로운 3대 산업인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패널을 합치면 2026년 이 비중은 23%로 늘어난다. 이는 2018년 24%에서 2026년 16%로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 부동산 산업의 빈자리를 상쇄하고도 남는다.
BE 이코노미스트인 창 슈와 에릭 주는 “중국 경제 전망에 대한 비관론은 이해할 수 있지만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며 “중국 정부가 곧 대대적인 재조정을 단행할 수도 있다”고 낙관했다. 일례로 베이징과 상하이의 중간 지점에 있는 쉬저우라는 도시는 10년 전만 해도 석탄과 철강, 시멘트 등 중공업과 부동산 산업에 의존했지만, 이제는 신에너지와 기계, 신소재 산업이 지역 경제를 주도하고 있다.
문제는 중국을 둘러싼 대외적 환경이 그다지 녹록지 않다는 것이다. 값싼 전기차와 태양광 패널이 세계 시장에 쏟아져 나오자 미국과 유럽 정부는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주의적 대응에 나섰다. 여기에 11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 상황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다만 이러한 보호무역주의 기조는 첨단 반도체와 같은 전략적 분야에서 자급자족을 구축해 중국이 무역이나 군사적 긴장 악화에 휘둘리지 않도록 하겠다는 시 주석의 결의를 강화할 뿐이라고 블룸버그는 강조했다.
래리 후 맥쿼리그룹 중국 경제책임자는 시 주석의 추진력을 1990년대 후반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한국이 중공업 중심에서 기술산업으로 전환한 것과 비교하기도 했다.
다만 이번에는 중국이 훨씬 더 어려운 환경에 직면해 있다. 그는 “중국이 기술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핵심은 기술 자체의 변화 속도”라며 “인공지능(AI)과 첨단 반도체 제조와 같은 기술이 빠르게 발전할수록 중국은 그 속도를 따라잡기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 올해도 불붙은 ‘BMW vs 벤츠’ 경쟁…수입차 1위는 누구 [모빌리티]
- 위메이드, ‘위믹스 페이’로 게임·위믹스 선순환 노려…소통 방식은 ‘숙제’
- [포토] 양파쿵야·곽철이·무직타이거…잠실 롯데백화점에 K-캐릭터 총출동
- “큰 영화만 살리는 게 좋은 시장인가”…스크린 상한제 법제화 목소리↑
- “개 식용 종식법, 마리당 보상 있을 수 없는 일”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