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의사회장단, 올특위 해체 권고…“20일 회의, 26일 대토론회서 논의”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최근 제기된 탄핵 위기설에 정면 반박했다. 또한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 해체설’도 확정된 사안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15일 임 회장은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현안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나는 역대 최고 투표율과 지지율로 당선됐으며, 모든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이라며 “탄핵설은 언급할 가치도 없는 극히 일부의 바람일 뿐”이라고 밝혔다.
임 회장은 “의협의 회무를 흔들고 싶어 하는 일부의 의견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라며 “나는 취임하기 전부터 탄핵을 시키겠다는 얘기를 듣고 있었다”라고 부연했다.
임 회장은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반발에 대해서도 “충분히 이해한다”라며 수용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내가 그분들에게 충분히 만족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비난하시는 것이 당연하다”라며 “지금까지 회무에 여러 시행착오가 있었던 것도 분명하다”라고 인정했다.
다만 임 회장은 전공의와 의대생들에게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밝혀주기를 요청했다. 그는 “본인들이 원하는 바를 의협에 충분히 이야기해주면, 그 부분에 대해 의협이 무엇이든지 뒷받침을 할 생각이다”라며 “지금보다 성의 있는 자세로 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시도의사회장단, 올특위 해체 권고…“20일 회의, 26일 대토론회서 논의”
이날 의협은 올특위를 해체해야 한다는 의사사회 일부의 여론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전날 전국 시도의사회 회장단은 현안 회의 끝에 의협에 올특위를 해체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올특위는 의협과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 등이 의사들의 의견을 수렴, 전달하기 위해 조직한 협의체다. 출범 당시 전공의와 의대생 단체가 참여를 거부해, 사실상 의협과 의대 교수들의 의견만 대표하는 기구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채동영 홍이사는 “시도의사회장단이 우려하시는 바를 잘 알고 있으며, 의견 주신 것에 대해 숙고하겠으나, 최종적 결정은 20일에 회의를 통해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회장단 내에서도 의견이 어느 정도 갈리는 것으로 알고, 올특위와 같은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분명 있다”라고 부연했다.
최안나 대변인은 “올특위가 전공의와 의대생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로 운영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크고, 원래 취지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전공의와 의대생 참여에 대한 강한 주문을 하신 것으로 이해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까지 말씀드릴 수 있는 바는 20일 회의, 26일 대토론회를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채 이사에 따르면 현재 올특위 회의에는 일부 전공의와 의대생도 참석해 의견을 내고 있다. 하지만 의협은 이들의 신변 보호를 위해 참석 인원 및 발언 내용 등을 일절 공개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정부, 꼼수 멈추고 전공의·의대생 요구 들어라”
한편 이날 임 회장은 정부를 향해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원하는 대로 사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임 회장은 “전공의들과 의대생들은 미래의 우리나라 의료를 짊어질 사람들인데, 정부는 왜 그들의 이야기를 안 들어주냐”며 “당장 들어주면 문제는 아주 쉽게 풀릴 것이며, 정부가 더는 시간 끌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임 회장이 내년도 의대 증원을 멈출 것을 재차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와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등이 발표한 대정부 요구안은 모두 ‘의대 증원 전면 백지화’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임 회장은 정부의 하반기 전공의 모집 방침에 대해 “전공의 복귀율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빅5만 전공의를 채우면 된다, 지역의료든 사람 살리는 의료든 나 몰라라 하겠다는 얘기”라고 비난했다. 이어 그는 “가을턴(하반기 전공의)을 온갖 꼼수를 동원해 뽑을 것이 아니라, 모집을 중단하고 지금이라도 전공의와 학생들의 뜻을 전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이 사태를 해결할 방법이라는 사실을 명심하라”고 날을 세웠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까지 미복귀 전공의 사직 처리를 완료하고,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반영하도록 결원을 확정할 것을 각 수련병원에 주문했다. 또 사직 후 하반기에 복귀하는 전공의는 ‘1년 내 같은 과와 연차로 복귀할 수 없다’라는 기존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등의 수련 특례를 적용하기로 했다.
일부 수련병원장들이 제안한 권역제한 모집안은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비수도권 소재 수련병원장들은 전공의들이 사직 후 수도권 병원으로 쏠려 지방 의료 공백이 심화할 것을 우려해 정부에 권역제한을 요청한 바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