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빅테크 기업 사이에 탄소중립 목표로 가는 과정에서 엇갈리는 행보가 나타나고 있다.
아마존과 MS는 탄소중립 전략을 최근 가속화하고 있지만 구글은 ‘탄소중립 기업’이라는 명칭을 포기하는 결정을 내렸다.
구글은 두 라이벌 기업과 달리 인공지능(AI)와 검색엔진 사업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어 에너지 관련 비용 부담이 더 높은 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탄소중립이라는 세계적 기조로 볼 때 구글 역시 탄소중립 전력원에 관한 대안을 서둘러 찾아야 할 필요성이 크다는 시각이 많다.
11일 블룸버그와 뉴욕타임스 등 외신을 종합하면 인공지능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막대한 전력 수요가 주요 빅테크 기업의 기후대응 전략에서 핵심 변수로 부각하고 있다.
전력 수요에 따른 비용 부담으로 인해 빅테크 기업별로 기후대응 전략에 뚜렷한 ‘온도차’가 관측된다.
아마존은 현지시각 10일 2023년 탄소중립 발전원으로 생산한 전기로 모든 사업장의 전력을 충당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날 MS도 글로벌 에너지 기업 옥시덴탈 페트롤리움 산하 원포인트파이브(1PointFive)로부터 탄소배출권 50만 톤을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탄소 배출권을 구매하면 데이터센터를 증설하면서 늘어난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쇄할 수 있다.
반면 구글은 ‘2024 환경보고서’를 통해 탄소중립 기업이라는 명칭을 포기한다는 공식 결정을 최근 내렸다. 탄소중립이란 기업 활동으로 발생한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흡수량으로 상쇄해 순 배출량이 ‘0’이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블룸버그는 구글이 탄소중립 에너지원에 직접 투자하거나 온실가스 배출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구매하는 데 따른 비용 부담이 과도해 이를 철회했다고 분석했다.
최근 인공지능 열풍으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해 이들 데이터센터 기업들 또한 전력 수급과 이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저감이 최대 과제로 떠올랐는데 이와 관련해 아마존과 MS, 구글의 행보가 엇갈린 셈이다.
아마존과 MS는 중장기 목표에서도 탄소중립 에너지를 사용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아마존은 이번 발표에서 100% 청정 에너지원 발전 목표를 애초 계획보다 7년 빠르게 이뤄냈다고 강조했다. 2024년 안으로 배달용 밴과 수송기 등 운송 수단을 포함해 모든 사업 부문에서 넷제로(탄소배출량 0)를 달성하겠다는 방침도 내놨다.
MS 또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공급업체와 협업해 2030년까지 원자력발전을 포함한 100% 무탄소 전기 사용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렇듯 아마존과 MS가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을 계속 경주하는 만큼 구글이 AI 투자를 이유로 탄소중립을 포기한 명분이 약해진다는 시각도 있다.
구글로서는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다른 두 빅테크 기업보다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분석된다. 구글이 자체 생성형 인공지능 제미나이를 검색 등 자사의 다른 서비스들에 적극적으로 통합하고 있어서다.
인공지능 서비스가 기존 검색 서비스보다 전력을 더 많이 소모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공지능과 검색 엔진을 함께 운영하는 구글은 전력 확보와 온실가스 감축에 드는 추가 비용 부담이 커질 공산이 크다.
이와 달리 아마존은 인공지능 서비스만을 운영하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인공지능과 검색서비스를 함께 하지만 검색 시장에서 비중이 낮아 구글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탄소중립 비용 부담이 덜하다.
구글이 2023년 한 해 동안 배출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 규모는 2019년보다 48%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기간 에너지 소비량도 두 배로 뛰었다.
MS도 물론 2020년에서 2023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30% 증가했지만 구글과 비교해 증가폭이 작다. 아마존의 2023년 배출량은 2022년과 비교해 오히려 3% 줄었다.
결국 구글이 검색엔진과 클라우드 서비스는 물론 인공지능까지 사업 영역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 전력원을 위한 대안을 찾아야 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구글도 그동안 친환경 에너지원 확보에 다양한 시도를 이어온 만큼 탄소중립 관련 노력을 극단적 수준으로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구글 대변인은 블룸버그를 통해 “배출권 구매 대신 배출량 자체를 줄이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라며 “203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근호 기자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