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바이오 업계의 최신 트렌드와 시장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 2024)’ 에서 만난 자넷 리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세포주개발그룹장은 머크 부스에서 “세포주 개발에 필요한 장비들을 둘러봤다”며 이 같이 말했다.
국내 최대 바이오 행사인 BIX 2024가 개막했다. 올해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론자 등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과 머크, 써모피셔, 싸토리우스 등 글로벌 바이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등 15개국 250여개 기업이 450여개의 부스를 차렸다. 역대 최대 규모다. 행사장을 찾는 관람객은 약 1만 명으로 예상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처음 BIX 2024에 참가해 이목을 끌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사전 확정된 미팅만 20건 이상”이라며 “최근 큰 계약이 있었던 만큼 트랙 레코드가 선순환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1조 4000억원 규모 위탁생산(CMO) 계약을 따냈다. 지난해 전체 수주 금액의 40%에 달하는 규모다. 머크는 차세대 항암제인 항체약물 접합체(ADC) 제품을 중심으로 부스를 꾸렸다. 머크 관계자는 “올해 론칭한 ADC 전용 장비를 가지고 나왔다”며 “ADC 관련 장비를 갖춘 곳이 2~3곳 밖에 없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학생들의 단체 관람도 눈에 띄었다. 경북 바이오마이스터고 학생들은 삼성바이오에피스 부스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을 눌러보며 류마티스 관절염 자가 주사형 치료제 사용법을 체험했다.
|
이날 가장 뜨거운 현장은 비만치료제 적응증 확대 관련 세션이었다. 비만치료제는 심장병, 파킨슨병 등에도 효과를 보이며 ‘만능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120명으로 한정된 좌석은 시작 전부터 꽉 찼고 서서 듣는 인원만 100여명이었다. 관람객들은 임상 데이터를 사진 찍는 등 관심을 보였다.
발표자들은 3세대 비만치료제의 핵심은 ‘퀄리티’라고 입 모아 말했다. ‘얼마나 살이 빠졌는가’가 아닌 ‘어떻게 잘 뺐느냐’가 핵심이라는 얘기다. 노보 노디스크의 삭센다·위고비,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 등 현재 시판되는 비만치료제는 GLP-1 계열이다. 식욕억제가 주요 기전이라 근손실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다.
최인영 한미약품(128940) R&D센터장은 “그동안 당뇨, 혈압, 고지혈증 등 각각 개별 처방이 이뤄졌는데 적응증 확대로 의료 비용 절감 등 변화가 예상된다”며 “그동안 얼마나 체중이 줄었는지 수치 경쟁을 했다면 앞으로는 어떻게 살이 빠지는지 ‘퀄리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미경 동아에스티(170900) 연구본부장도 “근육량을 보존하면서 살이 빠질 수 있도록 에너지 대사를 늘리는 방식을 택했다”며 “비임상에서 말초 대사를 증진시켜 운동한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 회장은 “코로나 이후에도 전문의 파업으로 바이오업계 어려움 지속되고 있다”며 “이제 긴 터널의 끝이 보인다”고 말했다.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도 “이번 BIX계기로 대한민국 바이오산업 더 성장하고 국내외 비즈니스 기회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