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 발족…“중소기업 지원 확대해야”

이투데이 조회수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 창립총회
우주항공분야 전문가 50여 명 참여
재사용 로켓ㆍ민간 진출 등 환경 급변
“인력 정책 변화, 대학 협력 등 중요”

이동욱 기자 toto@서천호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 대표(국민의힘 의원)가 10일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 창립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우주항공산업의 성공을 뒷받침하기 위해 국회와 민관산학 전문가가 총망라된 포럼이 창립된다. 각계 전문가들은 입법, 정책 지원과 함께 중소기업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건강한 우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10일 서천호 국민의힘 의원실과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는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이 포럼은 범국민적인 우주항공산업 대응과 입법ㆍ정책 거버넌스 실현을 위해 마련했다. 한국항공우주학회장을 지낸 김종암 서울대 교수과 권진회 경상국립대 총장,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 등 50여 명의 국내 우주항공분야 전문가들이 연구위원으로 참여했다.

이날 창립총회에서는 서 의원과 곽신웅 국방우주학회장(국민대 교수), 강 KAI 사장을 공동대표로 선출했다.

서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 공동대표는 “세계 각국이 우주항공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우주산업이 2040년까지 세계 시장점유율 10%를 달성하면 연 144조 원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우주항공 일자리는 2023년 2만 명에서 2045년 50만 명으로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동욱 기자 toto@권진회 경상국립대 총장이 ‘우주항공산업 발전 방향 제언’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이어진 주제 발표에서는 권 경상국립대 총장이 ‘우주항공산업 발전 방향 제언’을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최근 재사용 로켓 등장과 민간기업 진출로 우주항공산업의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우주 발사체 발사 비용은 1981년만 하더라도 ㎏당 5만1800달러에 달했지만 2022년에는 35배가량 저렴한 kg당 1500달러로 감소했다. 2040년에는 ㎏당 100달러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낮아진 발사비용으로 대량 위성 발사 시대가 도래하면서 저지구궤도(LEO) 위성 서비스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권 경상국립대 총장은 “나라별로 우주 발사체의 LEO 수송 능력은 미국 스페이스X의 스타쉽이 150톤(t), 중국 창정 9호는 140톤에 달한다”며 “이에 반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는 1.5톤 수송에 그친다. 하지만 이는 우리가 발전해 나갈 여지가 많이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우주항공산업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는 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공공 수요를 창출해 민간 수요를 촉발하게 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권 경상국립대 총장은 “민간이 사업성 있는 분야를 발굴하고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야, 앞서 나가 있는 국가들을 따라잡을 수 있다”며 “단기간에 미국을 따라잡고 싶어 하면서, 예산을 투입하지 않고 구호만 외치면 안된다”고 했다.

권 총장은 중소기업이 살아있는 건강한 우주항공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인력 정책의 변화 △기술 정책의 변화 △대학 협력 강화 등 세 가지 비전을 제시했다.

권 경상국립대 총장은 “고용 창출 위주 정책이 아니라 중소기업 재직자 위주로 인력 정책을 바꿔야 한다”며 “우주항공부품연구원 등 중소기업 기술지원전문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투데이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경제] 공감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 “이거 들어오면 제네시스도 위험!” 4천만원대 프리미엄 전기 SUV 출시 예정
  • “성공하더니 7천 만원 외제차 구입” 이주빈, BMW X4로 장롱 면허 탈출
  • “현대차에 손벌리는 미국!” 스타리아에 쉐보레 마크 달리는 이유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주가 출렁이게 만든 딥시크 충격… 한국은 ‘무엇’을 해야 할까

    차·테크 

  • 2
    [리뷰] 이번에도 매력적인 세계관을 보여주는 수작 매트로배니아 게임 ‘엔더 매그놀리아’

    차·테크 

  • 3
    당신의 지갑은 안녕하십니까…2월 대작 게임 공습경보

    차·테크 

  • 4
    나 지금 떨고 있니? 우려가 현실로! 레알 마드리드 vs 맨시티, 챔스 16강 PO 맞대결...김민재 vs 양현준 '코리안 더비'도 성사

    스포츠 

  • 5
    “매니저 190km 과속…” 큰 교통사고에도 기적적으로 살아난 고명환의 깨달음에 마음이 묵직해진다

    연예 

[경제] 인기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지금 뜨는 뉴스

  • 1
    10명 중 7명 법인세 증액 찬성…'부자증세' 지지

    뉴스 

  • 2
    흙수저 집안과 금수저 집안의 자식이 바뀐 사건

    뿜 

  • 3
    만두피가 거의 없는 인천 굴림만두

    뿜 

  • 4
    응답하라 다음 시즌 여주 정해짐ㄷㄷㄷ (콩콩밥밥)

    뿜 

  • 5
    와 장원영 성숙미 ㅈㄴ미쳤다

    뿜 

[경제] 추천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 “이거 들어오면 제네시스도 위험!” 4천만원대 프리미엄 전기 SUV 출시 예정
  • “성공하더니 7천 만원 외제차 구입” 이주빈, BMW X4로 장롱 면허 탈출
  • “현대차에 손벌리는 미국!” 스타리아에 쉐보레 마크 달리는 이유

추천 뉴스

  • 1
    주가 출렁이게 만든 딥시크 충격… 한국은 ‘무엇’을 해야 할까

    차·테크 

  • 2
    [리뷰] 이번에도 매력적인 세계관을 보여주는 수작 매트로배니아 게임 ‘엔더 매그놀리아’

    차·테크 

  • 3
    당신의 지갑은 안녕하십니까…2월 대작 게임 공습경보

    차·테크 

  • 4
    나 지금 떨고 있니? 우려가 현실로! 레알 마드리드 vs 맨시티, 챔스 16강 PO 맞대결...김민재 vs 양현준 '코리안 더비'도 성사

    스포츠 

  • 5
    “매니저 190km 과속…” 큰 교통사고에도 기적적으로 살아난 고명환의 깨달음에 마음이 묵직해진다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10명 중 7명 법인세 증액 찬성…'부자증세' 지지

    뉴스 

  • 2
    흙수저 집안과 금수저 집안의 자식이 바뀐 사건

    뿜 

  • 3
    만두피가 거의 없는 인천 굴림만두

    뿜 

  • 4
    응답하라 다음 시즌 여주 정해짐ㄷㄷㄷ (콩콩밥밥)

    뿜 

  • 5
    와 장원영 성숙미 ㅈㄴ미쳤다

    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