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은행 사옥 전경(사진 왼쪽부터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 . [사진=각 사]](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7/CP-2022-0038/image-b5ffd9b6-7ab3-47ab-b0fc-c156f6eb324d.jpeg)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급등세를 보이는 가운데, 하나·KB국민은행에 이어 우리은행도 주담대 금리를 인상한다.
![우리은행 CI. [사진=우리은행]](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7/CP-2022-0038/image-47122f82-fcc8-4b9b-98e7-27886aa3e013.jpeg)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오는 12일부터 아파트 담보 대출 중 5년 변동인 주기형 상품의 금리를 0.1%포인트 올린다. 또, 전세 대출의 경우(우리전세론·우리WON전세대출)에도 2년 고정 금리 상품의 금리를 0.1%포인트 인상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 총량 관리가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하나은행은 지난 1일부터 주담대 금리를 최대 0.2%포인트 인상했으며, KB국민은행도 지난 3일부터 금리를 0.13%포인트 올린 바 있다.
다만 은행권의 금리 조정에도 불구하고 주담대 금리 하단은 이날 2.8%대까지 떨어졌다. 고정금리의 산정 기준이 되는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가 지난 5일 3.396%로 집계되며 ‘연중 최저점’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날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담대 고정형 금리는 2.88~5.71%로 집계됐다. 특히 신한은행의 주담대 고정형 금리는 2.88%~5.74%로, 하단 기준 2.8%대까지 내려왔다.
![이복현 금감원장. [사진=금융감독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7/CP-2022-0038/image-7cfe337b-e67d-46ed-b5d0-6242fcbcc5b6.jpeg)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2일 임원 회의에서 “성급한 금리인하 기대와 국지적 주택가격 반등에 편승한 무리한 대출 확대는 안정화되던 가계부채 문제를 다시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주요 시중은행들이 잇따라 주담대 금리를 인상하는 건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가 가팔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5대 은행의 지난 4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총 710조 7558억원으로 집계됐다. 7월 들어 나흘 만에 2조 2000억원 가까이 불어난 것이다.
![[사진=금융감독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7/CP-2022-0038/image-892e5962-c129-4938-975c-7b2b6dcc1486.png)
한편, 금융감독원은 오는 15일부터 가계대출을 취급하는 은행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에 나선다.
DSR 규제를 잘 준수하고 있는지, 가계부채 증가율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이내로 관리하겠다고 한 정부의 방침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