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 주최 ‘미래금융세미나’ 기조연설 나서
“인구구조ㆍ기후변화 등 금융 환경에 영향”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이 “인구구조 변화, 기후변화, 기술 혁신이라는 메가트렌드에 대응해 중장기적인 시각과 정책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8일 ‘미래의 거대 트렌드가 가져올 금융의 변화’ 라는 주제로 열린 ‘미래금융세미나’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정책세미나는 각계 전문가들이 급격한 인구구조의 변화, 기후변화, 기술 혁신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금융산업의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메가트렌드와 미래금융 프레임워크’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섰다. 그는 “그동안 금융당국은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해야 하는 여건으로 인해 주로 긴급한 이슈에 집중했다”면서 “그러나 금융정책이 구조적․거시적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중장기적인 시각과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가오는 미래에 대응해 변화가 가져올 위험을 최소화하고, 중장기적 성장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체계적인 분석에 기반한 미래금융 프레임워크를 소개했다. 미래금융 태스크포스(TF)는 미래금융 프레임워크에 따라 인구, 기후, 기술의 각 주제가 금융에 미치는 영향을 위기와 기회로 나눠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책 대응 방향 역시 △완화(Mitigation) △적응(Adaptation) △혁신(Innovation) 등 3가지 관점으로 나눠 미래의 금융정책 과제를 발굴·검토하고 있다.
이어 김 부원장은 인구구조 변화와 관련해서 부양비 상승과 성장 둔화 가능성으로 금융산업에 침체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인구구조 변화를 기회로 삼아 금융산업이 수익 모델을 다양화하고, 생애주기별 상품을 확대할 수 있다”면서 “청년층의 주택 마련과 결혼·출산 등을 위한 금융 지원을통해 출생률 반등과 생산연령인구 증가를 도모하고 노후 현금 흐름 창출을 위한 연금 제도 개선 및 자본시장의 장기적 수익성 제고 등 금융안전망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금융사는 노후 대비 자산관리 서비스와 고령층 대상 서비스를 확대하고 해외 진출 경로를 다각화하는 등 금융산업의 영역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기후변화는 금융시장이 앞으로 더욱 성장하고 새로운 투자기회가 확대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회요인일 수 있다고 김 부위원장은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온실가스 감축과 저탄소 전환에 금융이 기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기술 혁신과 관련해서는 인공지능(AI)를 필두로 하는 핀테크 고도화, 금융·비금융 융합 가속화 등이 금융권에서 반드시 살려야 할 기회 요인이라고 언급하며 망 분리 규제 개선을 언급했다.
김 부위원장은 “금융권 AI 신뢰도 제고, 데이터 보안과 사고 방지 등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금융권이 신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망분리 규제를 개선하고, 양질의 데이터 확보를 지원하는 등 기술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면서 “전 세계적으로 금융권에 혁신 기술이 빠르게 적용되고 있는 흐름 속에서 다양한 신기술을 이용해 금융시장과 산업이 도약할 수 있도록 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서정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인구변화가 금융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인구 고령화, 저출생 등 인구변화가 금융시장 참여자 구성․행태의 변화를 촉발해 금융부문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며, 저출생 완화 및 고령층 맞춤형 금융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아울러 ‘미래 인구변화와 금융산업의 새로운 기회 : 대응 전략과 성공사례 분석’을 발제한 박중호 맥킨지앤드컴퍼니 파트너는 금융산업이 인구구조변화에 대해 경제 성장을 지원하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이옥수 딜로이트 파트너는 ‘기후위기 시대, 금융의 역할’에 대해, 이승준 보험연구원 ESG연구센터장은을 ‘기후위기와 금융의 역할’에 대해,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실장은 ‘기술 발전과 금융산업의 변화-금융산업 대응 과제 모색’에 대해 발제했다. 호 BCG 파트너 ‘기술 발전과 금융의 변화’를 주제로 4대 핵심 기술(클라우드, AI, 플랫폼, 블록체인)의 금융적용이 사회적 효익, 소비자 안정, 산업의 선진화 등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하반기 중에도 인구·기후·기술 분야별 논의를 이어나가고, 연말까지 이를 종합해 공개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