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금융의 기업가치 제고 행보가 주목받는 건 조 회장의 결단 때문이다. 원 메리츠 전환 과정에서 75.81%였던 조 회장의 지분율은 46.94%까지 떨어졌다. 이후 자사주 매입·소각 등이 이뤄지며 조 회장의 지분율은 3월 말 기준 50.21%까지 확대된 상태다.
조 회장이 지배력 축소를 감수하고도 지배구조 개편을 추진했고, 기업과 주주가치 제고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메리츠금융은 순이익의 50%를 주주환원하겠다는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시장에서도 메리츠금융의 기업가치 제고 방안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5일 메리츠금융의 주가는 8만3400원을 기록했다. 메리츠금융이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증권을 완전자회사로 편입, 원 메리츠 체제가 공식 출범했던 지난해 4월 25일(4만5600원) 이후 83% 증가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시가총액은 9조4947억원에서 15조9061억원으로 늘어났다. KB금융(35조5897억원), 신한금융(27조2525억원)과의 격차는 크다. 하지만 하나금융(19조3540억원)을 바짝 따라잡았고, 우리금융(10조9606억원)을 앞서고 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은 1.69배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KB금융(0.58배), 신한금융(0.50배), 하나금융(0.47배) 등보다 월등히 높다.
실적 개선세는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2년 2조1333억원이었던 순이익은 2023년 2조1254억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올해 1분기 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1% 줄어든 5913억원이다. 메리츠화재 실적 개선에도 메리츠증권 등의 실적이 부진한 영향이다.
그럼에도 메리츠금융의 주가가 상승하고 PBR이 높은 이유는 그간의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 덕분이라는 해석이다.
지난 4일 메리츠금융이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역시 시장에서 호평일색이다. 앞서 밸류업 1호 공시를 발표한 키움증권이 실망스럽다는 평가를 받는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메리츠금융에 대해 “주주평등 원칙 천명한 메리츠금융에게 모든 상장사 배워라”라고 밝혔다. 목표 및 절차가 명확할 뿐 아니라 총주주수익률(TSR), 주주환원율, 자본비용, 자본초과 수익, 밸류에이션 등 모든 핵심 지표가 포함돼 있다며 ‘A+’를 부여한다고 했다.
메리츠금융이 발표한 청사진을 살펴보면 2025년까지는 순이익의 50% 이상을 주주환원한다는 방침이다. 2026년부터는 내부투자와 주주환원 수익률을 비교한 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최적의 자본배치를 추진하기로 했다.
메리츠금융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핵심지표로는 TSR을, 중기 실행지표로는 주주환원율(자사주 매입·소각+배당)을 각각 설정했다. 내부투자수익률과 자사주 매입 수익률, 현금배당 수익률 등 3가지 수익률을 비교해 주주가치 제고에 최적인 자본배치 방법을 결정하고 있다. 이같은 자본배치 메커니즘에 따라 내부투자 수익률과 주주환원(자사주 매입+배당)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2023∼2025년은 연결 당기순이익의 50%를 주주환원하기로 결정, 실행에 옮기고 있다.
2026년부터는 3가지 수익률 간 순위에 따라 자본배치 및 주주환원 규모와 내용을 결정하는 적극적 기업가치 제고 정책을 지속할 예정이다. 내부투자 수익률이 주주환원 수익률보다 높을 경우 내부투자 비중을 더 키운다는 얘기다.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키우는 것이 결국 주주환원의 일환이라는 판단에서다.
메리츠금융은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여하는 기업설명회(IR)를 진행하며 주주와의 소통도 강화하고 있다. 앞으로도 메리츠금융은 연 4회 실시하는 실적 공시 때 ‘밸류업 계획’을 같이 공개하고, 계획 및 이행현황을 CEO들이 참여하는 IR에서 직접 설명할 예정이다.
메리츠금융 관계자는 “2026년부터는 3가지 수익률(내부투자·자사주매입·현금배당)이 현재와 유사하다면 50% 이상의 주주환원율을 유지하되, 내부투자 수익률이 자사주 매입 수익률이나 요구수익률보다 높다면 주주환원 규모는 줄어들지만 더 효과적인 주주가치 제고가 가능하다”며 “메리츠금융은 주주와 투자자를 최우선시하면서 지속적인 소통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