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하나·키움證 등 본격화에도 불확실성 여전
금융당국 리스크 관리 집중 주문 과제 선결 필요
최근 국내 6호 초대형 투자은행(IB) 타이틀을 차지하기 위한 증권사들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지만 연내 탄생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업계에서는 랩어카운트·특정금전신탁(랩·신탁) 돌려막기, 내부 통제 부실, 선행매매(미공개 정보로 이득을 취하는 주식 거래) 혐의 등 잡음이 계속 나오고 있는 만큼 리스크 관리가 선행돼야 한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나증권·키움증권·메리츠증권 등이 국내 6번째 초대형 IB 인가를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장애물을 만나면서 연내 추진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키움증권은 지난 5월 말 키움증권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함과 동시에 초대형 IB 인가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상태다. 회사 관계자는 “하반기 중 금융당국에 인가 신청서를 제출하는 걸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며 “신청에 필요한 각종 서류는 다 마련해 뒀다”고 말했다.
메리츠증권과 하나증권도 인가 획득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장원재 메리츠증권 대표는 지난 5월 개최된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초대형 IB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나증권은 작년에 이미 초대형 IB 인가 신청서를 제출해 둔 상태다.
초대형 IB는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재무 건전성 확보 ▲내부 통제 시스템 마련 등의 요건을 갖춘 증권사에 한 해 당국에 신청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자본시장 내 초대형 IB는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삼성증권 등 5곳이다.
증권사들이 초대형 IB가 되려는 가장 큰 이유는 단기금융업 인가를 추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발행어음은 증권사가 자체 신용으로 발행하는 만기 1년 이내 어음으로 자기자본의 2배까지 판매할 수 있다. 발행 절차가 간단하고 자금 조달도 쉬워 유동성 확보 측면에서 큰 도움이다.
이때문에 키움증권을 비롯해 메리츠증권, 하나증권 모두 인가를 추진하고 있지만 올해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초대형 IB 재무 요건인 자기자본 4조원을 이미 충족한 상태지만 리스크 관리 이슈가 여전히 상존해 있다.
메리츠증권은 최근 박 모 전 상무보가 부하 직원의 알선으로 다른 금융기관에서 1000억원이 넘는 대출을 받고 대가를 제공한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은 사실이 알려졌다.
작년에 금감원에 적발된 IB본부 일부 임직원이 사적으로 특수목적법인(SPC)을 만든 뒤 기업금융(IB) 영업 과정에서 확보한 사전 정보를 활용해 수십 억원의 이익을 챙긴 사건도 현재 진행형이다.
하나증권 또한 이달 랩어카운트·특정금전신탁(랩·신탁) 관련 중징계를 받으면서 금융당국의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제재심)는 지난달 27일 회의를 열고 하나증권에 대한 기관 제재 및 임원·담당자 제재 조치안을 의결했다. 회의 결과 하나증권에 대한 일부 영업정지 중징계 조치가 내려졌다. 특히 사회적 평판이나 사회적 신용도 등도 정성적 부분도 살피는데 이번 중징계로 관련 타격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키움증권의 경우에는 작년 발생한 ‘영풍제기 주가 조작’ 사태와 관련해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이 무혐의 처분을 받으면서 초대형 IB 신청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최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발생한 전산 오류로 일부 투자자들이 대규모 미수금 피해를 보는 일이 발생하면서 다소 제동이 걸렸다는 진단이 나온다.
지난달 3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발생한 전산 오류로 인해 약 1시간 동안 뉴스케일파워와 버크셔해서웨이 등 40여 개 종목의 가격이 99%가량 폭락한 것처럼 표시됐다.
당시 뉴욕증권거래소는 잠시 거래를 중단하고 재개 이후 지정가 주문을 모두 취소했다. 다만 시장가 주문은 취소 처리하지 않고 정상가로 다시 주문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시장가에 매수 주문을 넣은 일부 투자자들은 예수금 범위를 훨씬 초과해 미수금이 발생하는 일을 발생했다.
문제는 다른 증권사들은 시장가 주문 시 현재가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에서만 체결되도록 제한하거나 시장가 주문 자체를 제한하고 있어 피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데 반해 키움증권은 시장가 주문에 가격 제한을 두지 않아 고스란히 투자자 피해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최근 증권사들에서 연이은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리스크 관리 능력에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이 집중 주문하고 있는 리스크 관리 강화라는 과제를 선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작년부터 차액결제거래(CFD) 사태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이슈 등으로 금융당국이 업계에 강도 높은 리스크 관리를 주문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올해 들어서도 업계에서 악재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연내 초대형 IB 탄생이 다소 불투명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