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6월 모평’서도 과목간 유불리 발생…“이과생 절대적으로 유리해”

이투데이 조회수  

‘사탐런’ 현상도…“화학Ⅰ·생명과학Ⅰ 응시생 학습량 늘려야”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열린 4일 오전 서울 양천구 종로학원 본원에서 수험생들이 2교시 수학 시험지를 받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6월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에서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차가 여전해 이과생이 고득점 취득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평 표준점수 최고점은 수학 과목에서는 7점, 국어는 3점 차이가 났다.

3일 종로학원은 이 같은 내용의 6월 모의평가 개별 성적 통지를 받은 수험생 368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표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6월 모평 개별 성적은 2일 학생들에게 통지됐다.

이에 따르면 수학은 표준점수 최고점이 미적분 152점, 기하 151점, 확률과 통계 145점으로 점수 차가 최대 7점이 났다. 국어는 언어와 매체 148점, 화법과 작문 145점으로 3점 차가 났다.

표준점수는 시험이 어려웠는지 쉬웠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통상 시험이 어려우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올라간다.

미적분과 기하는 주로 이과생이 택하고, 확률과 통계는 문과생이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국어에서도 언어와 매체는 이과생이 주로 치른다. 이에 이과생이 고득점을 받기에 유리한 구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선택과목별로 유불리가 발생한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돼 온 바 있다. 지난해 6월 모평에서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은 국어에서 4점, 수학에서 8점 차이가 났다. 지난해 수능에서는 국어에서 4점 차, 수학에서 11점 차가 났다.

종로학원등급대별 인문, 자연 비율 추정(국어, 영어 인문, 자연 계열구분은 탐구 응시과목 기준)

종로학원은 이번 모평에서 실제로 이과생 고득점자 수가 문과생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분석했다.

수학 1등급 학생 중 이과(미적분 또는 기하 선택 기준) 학생은 98.6%인 것으로 추정됐다. 국어와 영어 과목도 탐구과목 기준으로 분류했을 때 국어 1등급 학생 중 71.4%, 영어 1등급 학생 중 72.2%가 이과 학생으로 추정됐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정시에서 수능 점수 기준으로는 문·이과 경쟁 시 이과생이 크게 유리하다”면서 “계열 구분없이 선발하는 무전공 선발 유형1에서 정시 선발시 이과생이 크게 유리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과탐 응시자 비율 감소…“상위권 경쟁 치열해질 것”

아울러 이번 6월 모평에서 과학탐구 응시자 비율이 감소해 ‘사탐런’이 발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사탐런’은 이과 지망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 과목을 선택해 보다 좋은 점수를 받는 전략을 말한다. 이로 인해 응시자 수가 급감한 특정 과학탐구 과목에서 상위권 학생들의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이투스에듀에 따르면 이번 6월 모평에서 과학탐구에 응시한 인원은 전년도 6월 모평 대비 2만3939명이 줄어, 전체 탐구영역 2과목 응시 비율이 전년(48.6%)대비 7.7%포인트(p) 줄어든 40.9%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탐구 1과목과 과학탐구 1과목에 응시한 혼합 응시자는 전년 대비 2만223명 늘어 전체 응시 비율도 3.8%에서 9%로 크게 늘었다.

이투스에듀는 “수학 미적분·기하 응시 인원이 줄지 않았음에도 과학탐구 응시 인원이 감소한 것은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현실화돼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 한 과목을 선택한 학생들이 증가했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투스에듀

이처럼 특정 과목에 응시자 수가 급감할 경우 상위권 학생들이 고득점을 받기 위해선 학습량을 더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투스에듀는 “화학Ⅰ과 생명과학Ⅰ 응시 인원이 특히 급감했다”면서 “등급 확보의 어려움이 커졌기 때문에, 해당 두 과목에 응시 예정인 학생들은 본인의 학습량과 학습 완성도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 또한 “자연계열 중하위권 수험생들이 사탐으로 빠져나가면 과탐에서의 상위등급 취득이 다소 어려워질 것”이라면서도 “소위 ‘사탐런’은 특정 조건에 있는 소수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전략이다. 이 경우 과학탐구와 사회탐구를 병행하거나 사탐을 추가로 공부해야 하므로 학습의 부담이 커진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투데이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역대 정부와 동일하다고?” 尹부친 묘지 CCTV 설치되자 국민들 반응 ‘깜짝’
  • 30여 년 한 우물 파더니 “마침내 날개 달았다”…시대적 흐름에 ‘방긋’
  • “등록금보다 월세가 더 무서워요” 학부모들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지역
  • 서울 아닌데도 연예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지역, 바로…
  • 한동안 방송서 안 보이던 ‘전설의 조동아리’ 멤버…이렇게 살고 있죠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경제] 공감 뉴스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군산서 중국차 생산 확정!” 택배차 싹 바뀔 다마스급 상용차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D-1 이찬원 첫 공연 실황 영화...팬덤 '찬스' 집결하나

    연예 

  • 2
    '해외 팬덤 강세' 하이브 VS '국내 비중 높은' SM…'2024 케이팝 세계지도' 공개

    연예 

  • 3
    셰브론(CVX.N), 전면적인 구조 개편 추진

    뉴스 

  • 4
    스타벅스(SBUX.O), 사상 최대 규모 구조조정...관리직 1100명 감원

    뉴스 

  • 5
    하츠투하츠, 전세계 팬들과 첫 만남…공식 팬덤명 'S2U'(하츄) 발표

    연예 

[경제] 인기 뉴스

  • “역대 정부와 동일하다고?” 尹부친 묘지 CCTV 설치되자 국민들 반응 ‘깜짝’
  • 30여 년 한 우물 파더니 “마침내 날개 달았다”…시대적 흐름에 ‘방긋’
  • “등록금보다 월세가 더 무서워요” 학부모들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지역
  • 서울 아닌데도 연예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지역, 바로…
  • 한동안 방송서 안 보이던 ‘전설의 조동아리’ 멤버…이렇게 살고 있죠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지금 뜨는 뉴스

  • 1
    텐 하흐, 맨유 경질 이후 처음으로 속마음 밝히다…"그리운 곳? 바로 OT지"

    스포츠 

  • 2
    보이넥스트도어, 첫 日 투어 성료 "열심히 준비해서 새 앨범으로 찾아오겠다"

    연예 

  • 3
    "제 손이 뚫려도 막아야죠"…선수가 돌진하면 자동으로 모서리를 감싼다 [곽경훈의 현장]

    스포츠 

  • 4
    화이트데이 벚꽃 데이트를 위한 서울 근교 벚꽃 명소 베스트 4

    여행맛집 

  • 5
    성산구, 3월부터 맞춤형 지적확정측량 사전 컨설팅 서비스 시작

    뉴스 

[경제] 추천 뉴스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군산서 중국차 생산 확정!” 택배차 싹 바뀔 다마스급 상용차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추천 뉴스

  • 1
    D-1 이찬원 첫 공연 실황 영화...팬덤 '찬스' 집결하나

    연예 

  • 2
    '해외 팬덤 강세' 하이브 VS '국내 비중 높은' SM…'2024 케이팝 세계지도' 공개

    연예 

  • 3
    셰브론(CVX.N), 전면적인 구조 개편 추진

    뉴스 

  • 4
    스타벅스(SBUX.O), 사상 최대 규모 구조조정...관리직 1100명 감원

    뉴스 

  • 5
    하츠투하츠, 전세계 팬들과 첫 만남…공식 팬덤명 'S2U'(하츄) 발표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텐 하흐, 맨유 경질 이후 처음으로 속마음 밝히다…"그리운 곳? 바로 OT지"

    스포츠 

  • 2
    보이넥스트도어, 첫 日 투어 성료 "열심히 준비해서 새 앨범으로 찾아오겠다"

    연예 

  • 3
    "제 손이 뚫려도 막아야죠"…선수가 돌진하면 자동으로 모서리를 감싼다 [곽경훈의 현장]

    스포츠 

  • 4
    화이트데이 벚꽃 데이트를 위한 서울 근교 벚꽃 명소 베스트 4

    여행맛집 

  • 5
    성산구, 3월부터 맞춤형 지적확정측량 사전 컨설팅 서비스 시작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