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식 한국은행 뉴욕사무소 차장은 ‘2024년 하반기 미국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보고서를 통해 “주요 투자은행은 금년중 정책금리 인하 폭(횟수)을 연준과 동일하게 전망하거나 한 두 차례 더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10개 투자은행을 보면 4개 기관이 연준과 동일한 25bp 인하를 전망했고 6개 기관이 연준 전망치보다 한 두 차례 더 인하할 것으로 전망(50bp 인하 4개 기관, 75bp 인하 2개 기관)하고 있다.
6월 FOMC 정책결정문에는 “인플레이션 목표를 향해 완만한 추가 진전이 있었다”고 수정됐지만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의 완화 확신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올해 말 정책금리 전망(점도표 중간값 기준)은 3월 4.75%에서 5.25%로 50bp 상향조정했다. 이는 올해 중 정책금리 인하 폭 전망이 기존 3회 인하에서 1회 인하로 축소됐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점도표와 같은 연내 1회 인하 전망도 나오지만 연준이 이보다 많은 연내 2~3회 금리를 낮출 것이란 예상도 있다. 바클레이즈, BOA(뱅크오프아메리카), JP모건, 도이치방크 등 4곳은 연준과 동일한 25bp 인하를 전망했다.
반면 골드만삭스와 노무라, 웰스파고, TD(토론토도미니언) 등 4곳은 50bp로 2차례 인하를 예상했다. 씨티와 모건스탠리 등 2곳은 3회인 75bp 인하를 전망했다.
BOA와 JP모건, 도이치뱅크 등 3곳은 4분기에 처음으로 금리를 낮출 것으로 예상한 반면 나머지 7곳은 모두 3분기 중으로 금리를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에는 큰 폭의 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도이치뱅크와 씨티가 각각 50bp, 150bp 금리 인하를 전망했고 나머지 7곳은 모두 연준이 내년 중 금리를 100bp 낮출 것으로 봤다.
연준과 해외IB와 전망에 다소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는 보고서는 성장과 물가에 대한 인식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풀이했다.
조 차장은 “연준은 올해 GDP(국민총생산) 성장률의 소폭 하향을 전망했지만 투자은행들은 제약적인 통화 누적효과로 완만한 경기침체를 겪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물가에 대해서 연준은 올해 근원 PCE(개인소비지출) 상승률을 2.6에서 2.4%로 하향조정했다. 반면 투자은행은 2.2~2.7%로 예상하면서 인플레이션이 하락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조 차장은 “연준과 투자은행들이 정책금리 경로에 대해 대체로 동질적인 전망을 하지만, 정치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 금융경제여건 전개 상황 등에 따른 리스크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봤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