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경쟁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할 클라우드 산업에 대한 추가 지원책을 조만간 발표한다. AI와 클라우드의 통합 성장을 유도하는 전략이 주로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정부와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 9~10월 중 ‘제4차 클라우드 기본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다. 현재 민간 분야 육성 지원책에 대해서는 초안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막바지 정책 조율 작업을 하고 있다. 이어 공공 분야 역시 조만간 지원 정책 초안이 나올 예정이다.
클라우드 기본계획은 산업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을 포괄하는 내용이 담긴다. 기본계획에 담긴 지원책은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 안건으로 상정돼 추진된다. 정부는 2015년 ‘클라우드컴퓨팅법’ 제정 이후 세 차례에 걸쳐 클라우드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해왔다. 2차 기본계획은 공공·산업의 클라우드 이용 기반 조성과 산업 성장의 초석 마련이 주요 내용이었다. 3차 기본계획에서는 전 산업 분야의 클라우드 전면 확산에 따른 데이터·AI 경제 가속화를 목적으로 했다.
|
이번 클라우드 기본계획에는 관련 산업의 성숙도가 높아진 만큼 더욱 세부적인 육성 방안이 담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민 과기정통부 인터넷진흥과장은 “클라우드 및 AI 산업과의 연계와 데이터센터 산업 육성에 관한 더욱 구체적인 내용이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주영섭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특임교수는 “클라우드와 인공지능 산업은 이제 분리해서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 정부는 두 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통합적인 시각에서 정책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웹서비스(AWS) 등 대형 클라우드 기업과 직접 경쟁이 어려운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을 위한 차별화된 성장 지원 전략도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클라우드 기본계획 민간 분과위원장인 양희동 이화여대 교수는 “이번 계획에는 AI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산업이 클라우드와 함께 성장하는 전략이 강조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정책도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해외 빅테크 기업이 독식하고 있는 국내 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CSP) 시장 구도에 변화를 줄 정책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공공 시장에서의 국내 CSP 사용 확대 등의 방법이 거론된다. 클라우드 기본계획 공공 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원석 연세대 교수는 “해외 빅테크 기업이 국내 CSP 시장에서 과도하게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댓글0